AD
국내 연구진이 종이처럼 구기거나 천 번 이상 접어도 성능이 그대로 유지되는 투명전극을 개발했습니다.
광주과학기술원 이광희 교수팀은 매우 유연하면서도 광투과도와 면저항 등에서 상용화를 위한 산업계의 요구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투명전극을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광주과기원 연구팀은 투명전극이 디스플레이와 태양전지 등에 쓰이는 핵심 부품이어서 투명 디스플레이의 상용화를 앞당겼다는 점에서 의미가 매우 크다고 평가했습니다.
연구팀은 용액 공정을 이용한 화합물로 필름을 형성한 유연한 기판 위에 금속 박막을 만든 뒤 반사방지 코팅을 하는 방식으로 투명전극을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광주과기원 이광희 교수팀의 투명전극 개발 성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지에 실렸습니다.
김범환 [kimbh@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광주과학기술원 이광희 교수팀은 매우 유연하면서도 광투과도와 면저항 등에서 상용화를 위한 산업계의 요구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투명전극을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광주과기원 연구팀은 투명전극이 디스플레이와 태양전지 등에 쓰이는 핵심 부품이어서 투명 디스플레이의 상용화를 앞당겼다는 점에서 의미가 매우 크다고 평가했습니다.
연구팀은 용액 공정을 이용한 화합물로 필름을 형성한 유연한 기판 위에 금속 박막을 만든 뒤 반사방지 코팅을 하는 방식으로 투명전극을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광주과기원 이광희 교수팀의 투명전극 개발 성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지에 실렸습니다.
김범환 [kimbh@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