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설

[사설] `면마스크 수업` 교육부의 개학 후 방역대책 불안하다

입력 : 
2020-03-26 00:01:02

글자크기 설정

교육부가 4월 6일 개학을 앞두고 '코로나19 감염 예방 관리' 지침을 전국 유치원과 학교에 배포했지만 학교가 감염 발생을 통제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가 가라앉지 않고 있다. 교육부는 코로나19 확진자가 2명 이상 발생하면 학교에 최대 2주 이용 제한 조치를 내리고, 발열검사에서 의심 증상이 확인된 학생은 귀가 조치하도록 했다. 또 등하교, 쉬는 시간, 급식 시간을 분산해 접촉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하지만 하루 확진자가 100명 안팎으로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 정도 방역 대책은 충분하지 않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특히 교육부가 수업 중 면마스크 사용을 권장하기로 한 데 대해 일부 학부모들은 불안하다는 반응이다.

정부는 개학을 앞두고 전 국민 외출 자제, 집단이용시설 운영 중단 권고 등 고강도 사회적 거리 두기를 당부하고 있다. 하지만 25일 "4월 6일 개학에 대해 안전 여부는 지금 평가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다"며 판단을 보류했으니 위험은 여전한 상황이다. 교육부는 세 차례 개학 연기로 인한 학사 일정 차질과 자칫 학교가 집단감염의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우려 사이에서 고민이 클 것이다. 하지만 개학은 정부가 그동안 권고해온 '사회적 거리 두기'를 사실상 종료하고 생활 방역 체계로 전환한다는 시그널이 되는 만큼 신중해야 하고 준비 역시 치밀해야 한다.

현재 학교 준비 상황은 학부모 눈높이에서 미흡하다. 대부분 교실은 책상과 책상을 1m도 벌릴 수 없고, 교사 수나 교실이 부족해 분반도 힘든 상황이다. 개인 도시락과 급식실 칸막이 설치 등도 학교마다 사정이 달라 시행이 불투명하다. 또한 확진자가 발생한 학교와 발생하지 않은 학교 간 수업 격차 발생은 어떻게 메울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도 없다. 예정대로 개학하려면 교육부는 더 강도 높고 공감할 수 있는 방역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교육부는 25일 원격수업을 통한 '온라인 개학'도 검토한다고 밝혔는데 적극 추진해 볼 만하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