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치사율 100%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조기 차단해야

2019.09.17 20:59 입력 2019.09.17 21:00 수정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생했다. 17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전날 경기 파주시의 한 양돈농가에서 어미돼지 5마리가 폐사했다는 신고가 들어왔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정밀 검사를 해보니 아프리카돼지열병 양성으로 확진됐다는 것이다. 농식품부는 확진 즉시 위기경보를 최고 수준인 ‘심각’ 단계로 격상했다. 곧이어 전염병 발생 농장과 이 농장 주인이 소유 중인 또 다른 2개 농장의 돼지 3950마리를 살처분했다. 이와 함께 전국 돼지농장, 도축장, 사료공장 등을 대상으로 전국 일시 이동중지 명령을 내렸다. 전염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비상조치에 나선 것이다.

당국이 최고 수준의 대응에 나선 이유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확산될 경우 재난 수준이 될 것으로 봤기 때문이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치사율이 100%에 이르는 바이러스성 전염병이다. 백신도, 치료제도 없다. 그래서 대부분 국가에서 살처분 정책에 의존한다. 만에 하나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퍼지면 대량 살처분은 물론 돼지고기 가격 폭등은 불문가지다. 우리는 구제역으로 돼지 348만마리가 살처분된 2010~2011년에도 40% 이상의 돼지고기 가격 인상을 경험한 바 있다. 전염 확산을 막는 방법 외의 대책은 없다.

안타까운 것은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이 예고됐다는 사실이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중국에서 발생해 몽골, 베트남, 캄보디아를 휩쓸었다. 급기야 지난 5월에는 북한의 자강도에서 발병한 사실이 확인됐다. 자강도는 북한의 북쪽 지역이지만 북한 전역으로 확산될 경우 남북 간 접경지대를 통한 전염이 우려되는 상황이었다. 당국에서는 관계부처 합동담화문 발표(4월), 북한 접경지역 방역상황 점검(5월), 축산물 무신고 반입 시 과태료 인상(6월) 등의 대책을 내놓았다. 그러나 “양돈농가 상대 방역교육은 주먹구구식이었다”는 증언이 나올 정도로 구멍이 많았다. 여행객이 휴대한 돈육가공식품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가 검출되기도 했다. 당국의 예방활동은 보여주기식에 그쳤고 시민들의 협조도 부족했다. 차단방역이 제대로 이뤄졌다고 보기 힘든 것이다.

전염병 예방은 초동대처가 성패를 좌우한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의 확산을 막는 데는 초기 48시간이 ‘골든타임’이다. 방역이 뚫리면 피해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이다. 우선 감염경로에 맞는 대책을 세워야 한다.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그러나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무엇보다 축산농가와 도축장에서 방역행동요령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 시민의 적극적인 협조도 필요하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이 국가적인 재난이 되지 않도록 모두가 나서야 한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