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설

[사설] 벼랑 끝 항공산업 대출·보증 실기하지 말아야

입력 : 
2020-04-06 00:02:01

글자크기 설정

코로나19 사태로 직격탄을 맞은 항공업계가 고사 위기에 놓였다. 항공기가 멈춰 서면서 3월 넷째주 항공업계 국제선 여객 매출은 전년 대비 95.5% 급감했다. 국적 항공 여객기 374대 중 87%인 324대가 서 있는 상황이다. 항공업계는 정리해고, 휴직, 임금삭감, 자산매각 등 잇단 자구책을 내놓고 있다. 이스타항공은 항공기 23대 중 10대를 줄이고, 직원 45%를 감원할 계획이다. 대한항공은 최대 6개월 순환 유급휴직에 들어갔고 보유자산 매각을 서두르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은 운영인력 절반 축소에 조종사 임금도 50% 삭감하기로 했다.

하지만 자구책만으로는 생존이 어려운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이대로 있다간 곧 죽는다"는 말이 나돌고 있다. 글로벌 항공컨설팅기업 CAPA는 "5월 말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항공사가 파산할 것"이라는 냉혹한 전망을 내놓았다. 그러면서 재앙을 피하기 위해 정부가 할 일은 "당장 지원하는 것"이라고 조언했다.

미국·프랑스 등은 이미 항공사를 살리기 위한 지원책을 쏟아냈다. 미국은 항공사 대출 지원과 보조금 등에 74조원을 지원하기로 했고, 독일은 164조원의 대출보증과 국적기에 무한대 금융 지원을 발표했다. 영국은 502조원 규모의 대출보증, 일본은 무제한 융자 지원에 나섰다.

항공업계가 피를 말리고 있는데도 우리 정부의 움직임은 굼뜨기만 하다. 3~6월 항공기 정류료 면제, 저비용항공사(LCC) 3000억원 금융 지원에 그쳤다. 유동성 위기에 빠진 대형 항공사들도 정부 지원을 통한 돌파구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항공협회는 전체 항공사에 대한 무담보 저리대출 확대, 채권의 정부 지급보증 등 대규모 정책자금 지원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 정부는 이번주 항공사 지원대책을 발표할 예정인데 다른 나라처럼 과감하고 신속한 지원에 나서야 한다. 항공산업은 종사자가 84만명에 달하는 국가 기간산업이다. 제때 자금이 수혈되지 않아 파산에 이르는 것은 국가적으로 큰 손실이다. 대형 항공사도 자구노력을 해야겠지만 정부도 "대기업은 시장에서 자금 조달을 하라"는 원칙만 고수할 때가 아니다. 부실경영 책임은 엄정히 묻더라도 생존 절벽에 몰린 항공업계를 일단 살리고 봐야 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