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자신하는 '중년 마라토너'...실제론 '건강적신호'

입력
수정2016.05.26. 오전 6:30
기사원문
김길원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연합뉴스자료사진]

마라토너 552명 5년 추적결과…2.5%에서 '부정맥' 발생

대부분 고혈압 직전 단계…"과도한 연습이 되레 심장건강 해쳐"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마라톤을 즐기는 사람들의 특징 중 하나가 건강에 대한 자신감이다. 그도 그럴 것이 42.195㎞나 되는 거리를 쉬지 않고 달린다는 게 보통의 체력으로는 어림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렇게 마라톤을 즐기며 건강을 자신하는 사람들이 되레 심장 건강이 나빠져 심혈관계질환 등의 위험에 처해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박경민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교수와 김영주 인제대 상계백병원 재활의학과 박사로 이뤄진 공동 연구팀은 40세 이상∼60세 이하 중년남성 마라톤 동호인 552명을 5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평균 나이 49세인 이들 마라토너는 매주 2차례 이상 최소 3년간 지속해서 훈련해 왔으며, 최근 5년 안에 풀코스 마라톤을 5차례 이상 완주했을 정도로 열혈 운동파였다.

연구 시작 당시 참여자 모두 심장 관련 질환으로 수술 또는 치료받은 병력은 물론 고혈압이나 당뇨, 갑상선, 간기능 장애 등도 없는 건강한 상태였다.

연구팀은 이들을 대상으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정기적으로 심초음파 검사를 시행했다. 또 운동부하검사 등 각종 검사와 진료를 받도록 하면서 추적 관찰했다.

이 결과 최장 5년의 추적 관찰이 이어지는 동안 연구 참여자 552명 중 14명(2.5%)에게서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부정맥이 발견됐다.

이 중 10명은 심장이 가늘게 부르르 떠는 '심방세동', 나머지 4명은 심장박동수가 100회 이상으로 빨라지는 '비지속성 심실빈맥'으로 각각 진단됐다.

이런 유병률은 지구성 운동선수들에게서 부정맥이 발견되는 비율(5.3%)보다는 적지만, 일반 인구의 중년층 유병률(0.9%)과 비교하면 훨씬 높은 수치다. 일반적으로 꾸준한 유산소 운동이 심혈관계질환 발생 가능성을 낮추고, 다른 만성질환도 예방한다고 알려져 있는 것과 비춰볼 때 의외의 결과인 셈이다.

의료진은 "이 마라토너들은 부정맥 진단 당시 당장 치료가 필요한 상태였다"고 설명했다.

더욱 심각한 건 지금 당장 부정맥이 나타나지 않은 마라토너라고 해서 안심할 수가 없었다는 점이다.


부정맥이 없는 마라토너(538명)도 모두 5년간 마라톤을 즐기는 사이 고혈압 전(前) 단계 상태 또는 '운동유발 고혈압' 상태가 됐다.

고혈압 전 단계의 경우 심혈관계질환 발생 위험을 2배가량 높이고, 운동유발 고혈압은 심혈관은 물론 뇌혈관 질환까지 일으키는 위험 요소로 꼽힌다.

이런 결과가 나온 데 대해 연구팀은 이들의 운동량이 지나치게 많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기록을 측정하는 종목인 마라톤은 시간을 단축하려고 연습을 꾸준히 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자신도 모르게 중독수준에 이르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것이다.

실제로 연구에 참여한 중년 마라토너의 운동량은 풀코스 마라톤보다 더 먼 거리를 뛰는 '울트라마라톤' 선수들의 운동량과 맞먹는 수준이었다.

울트라 마라톤 선수들의 하루 유산소 운동량은 적게는 90분에서 많게는 300분에 달하는데, 심혈관계질환 예방을 위해 전문가들이 권장하는 하루 운동량의 최대 10배 수준이다.

실제로 이번 연구에서 통계학적 조건을 모두 보정했을 때 부정맥이 있는 그룹(14명)은 없는 그룹(538명)보다 더 오래, 더 강도 높은 운동을 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맥 마라토너 그룹의 평균 운동경력은 128.5개월로 부정맥이 없는 마라토너 그룹(83.9개월)의 1.5배 수준이었다.

운동 강도를 잴 때 쓰는 20점 만점의 '보그 척도'(Borg RPE Scale) 역시 부정맥 마라토너 그룹(14.3점)이 비부정맥 마라토너 그룹(12.9점) 보다 높았다.

연구책임자인 박경민 교수는 "건강을 지키고자 시작한 마라톤이 독이 돼 돌아오지 않으려면 전문가의 도움을 얻어야 한다"며 "의사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을 통해 적정 수준의 연습량을 유지하고 운동습관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심혈관질환 분야 권위지인 '국제심장학회지(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 최근호에 게재됐다.

bio@yna.co.kr

▶ [핫클릭] STX로 쓴 강덕수 샐러리맨 신화 끝났다

▶ [핫클릭] 김영삼 前대통령 혼외자, 3억대 유산 소송 제기

▶ [통통영상]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반나체 시위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