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결함 항공기’ 많은 한국, 비상걸린 항공 안전

2019.10.30 06:00

국내 항공사 보유 보잉항공기 다수에서 결함이 드러났다. 29일 국토교통부와 항공업계에 따르면 미국 연방항공청(FAA)은 이달 초 보잉 737NG 기종에서 크랙(균열)이 발생한 사실을 발견하고 각국에 긴급점검을 요청했다. 이에 국내 항공사가 운항횟수가 많은 42대를 우선 점검한 결과 9대에서 크랙이 발견됐다. 5대 중 1대꼴이다. 세계적으로 1130대 가운데 53대(4.7%)에서 결함이 드러난 것과 비교하면 심각한 상황이 아닐 수 없다. 국토부는 해당 항공기를 운항 중지했지만 이것으로 끝낼 일이 아니다.

국내 항공사에서 들여온 보잉 737NG 기종은 모두 150대다. 이번에는 누적 비행횟수 3만회 이상 항공기만 점검했을 뿐이다. 나머지 108대도 시급히 점검해야 한다.

하지만 즉각적인 조치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항공기 결함은 제작사의 기술자문이 필요한 사항이며 수리 방법, 장소, 시기도 제작사의 지원을 받아야 한다. 승객들은 점검과 수리가 끝날 때까지 위험을 감수하고 비행기 트랩에 오르게 됐다.

이번에 문제가 된 기종은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이스타항공 등 국내 저가항공사가 많이 보유하고 있다. 100% 737NG 기종인 곳도 있다. 그 외에 737맥스 기종만 갖고 있는 곳도 있다. 이 기종 역시 문제가 많다. 지난 25일 이륙 직전 정비를 이유로 1시간 넘게 지체한 뒤에 출발했음에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되돌아온 제주항공 소속 항공기가 바로 이 기종이었다. 그 때문에 승객과 승무원은 40여분간 흔들리는 기체 안에서 불안에 떨어야 했다. 항공사 측은 자동조종장치 이상이라며 균열 등 구조상의 문제가 아니라고 했지만 단언할 수 없다.

항공기 안전에 과도할 정도로 높은 수준의 관리를 요구하는 이유는 작은 결함도 대형 참사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이번 기종의 결함은 세계 항공업계가 함께 나설 정도로 심각한 사안이다. 더욱이 한국은 결함 발생 빈도가 다른 나라보다 높기 때문에 더 주의해야 한다. 그럼에도 국토부는 “현재 운항 중인 기종의 안전엔 문제가 없고 균열이 있더라도 부품만 바꾸면 된다”는 입장이다. 너무 한가한 태도 아닌가. 물론 항공사가 운항중지 등으로 피해를 볼 수 있다. 그러나 승객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 모든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 당국은 안이하게 대처하다 큰일을 당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