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되는 ‘디젤 리스크’…이번엔 르노?

입력
수정2016.01.20. 오후 10:35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한겨레] 소형 SUV ‘캡처’ 1만5800대 리콜
배출가스 처리시스템 수리 나서
프랑스 당국, 르노 본사 압수수색
주가 급락…하룻새 3조여원 날아가
“르노만 규제기준 넘긴 것 아니다”
폴크스바겐도 여전히 해법 못찾아



독일 폴크스바겐 사태로 촉발된 완성차업체들의 ‘디젤차(경유차) 리스크’가 계속되고 있다. 지난해 폴크스바겐그룹이 디젤차 인증시험 환경에서만 배출가스를 적게 내뿜도록 하는 ‘눈속임’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프랑스를 비롯해 독일·한국 등 여러 국가에서 완성차업체들의 배출가스양 조작 여부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19일(현지시각)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 등 주요 외신을 종합해보면, 프랑스 완성차업체인 르노는 유로6(유럽연합이 정한 디젤차 배출가스 규제) 기준에 부합하는 엔진이 들어간 소형 스포츠실용차(SUV) ‘캡처’(한국명 QM3) 1만5800대에 대해 배출가스 처리 시스템 수리(리콜)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이 회사는 최대 70만대 디젤차 고객에게 배출가스 저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제공할 계획이다. 수리 대상은 지난해 7월부터 9월까지 생산된 캡처 가운데 110마력 모델이다. 이 차량은 국내에서 ‘큐엠3’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고 있다. 르노삼성은 “한국으로 수입되는 모델은 90마력으로, 리콜 대상과 다르다”고 설명했다.

르노의 이러한 조처는, 지난 14일 프랑스 경쟁소비부정방지국(DGCCRF)이 회사 본사 등 여러 곳을 압수수색했다는 사실이 뒤늦게 언론 보도를 통해 알려지면서, 제2의 폴크스바겐이 되는 것 아니냐는 시장의 의혹을 불식하기 위한 조처로 해석된다. 파리 증시에서 르노의 시가총액은 14일 하루 만에 26억유로(약 3조4000억원)가 날아갔다.

프랑스 일간 <르몽드>에 따르면, 르노는 “소비자들을 속이기 위한 그 어떤 시도도 하지 않았으며, 규제를 준수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르노는 “디젤차 질소산화물(NOx) 배출을 줄이기 위해 배기가스 재순환(EGR) 기술을 활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시스템은 17~35℃ 온도 조건에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는 문제가 있다”고 해명했다.

프랑스 정부는 지난해 10월 세골렌 루아얄 환경부 장관 주도로 디젤차에 대한 ‘무작위 시험’을 수행할 독립적 기술위원회를 구성했다. 이러한 위원회에는 정부 대표뿐 아니라 의회 의원, 환경단체, 소비자단체가 두루 참여하고 있다. 프랑스 공인 자동차 시험 업체(UTAC)를 통해 지금까지 르노·푸조-시트로엥그룹(PSA)·폴크스바겐·메르세데스-벤츠·포드·도요타·베엠베(BMW)·오펠 등 8개 업체의 22개 차량을 조사했으며, 향후 조사 대상 업체를 추가해 디젤차 100종에 대한 시험을 완료할 계획이다. 14일 루아얄 장관은 초기 조사 결과를 밝히며 “르노와 국외 업체 몇 군데 디젤차는 실제 주행 중에 뿜는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 수치가 규제 기준보다 너무 높았다”고 밝혔다. 프랑스 일간지 <레제코>(Les Echos)는 포드와 메르세데스-벤츠도 배출가스 문제와 관련해 프랑스 정부의 조사를 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세계 최대 디젤차 시장인 유럽연합(EU)에서는 2017년 9월부터 실제 도로를 달리는 조건에서의 배출가스 규제를 도입한다. 규제 시행 전이지만, 인증 결과와 실제 주행 시 디젤차 배출가스양이 현저히 차이가 나는 업체의 경우, 기술 보완을 위한 비용 부담이 불가피해 보인다. 지난해 말 르노는 5천만유로(약 666억원)를 투입해 실제 배출가스양을 인증 수준으로 낮추겠다고 밝힌 바 있다.

폴크스바겐은 여전히 문제가 불거진 미국 시장에서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 대기자원위원회(CARB)는 지난 12일 폴크스바겐이 제시한 2.0리터 디젤엔진 리콜 방식이 “불완전하다”며 퇴짜를 놓았다.

박현정 기자 saram@hani.co.kr
공식 SNS [페이스북] [트위터] | [인기화보] [인기만화] [핫이슈] Copyrights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