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다시 총수 공백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8일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경영권 승계 문제와 관련해 구속영장 실질심사를 받을 예정이다. 앞서 이 부회장 측은 검찰 수사 타당성 검증을 위해 수사심의위원회 소집을 요청했지만 검찰이 스스로 도입한 제도를 무력화하며 구속영장을 청구했기 때문이다. 2017년 2월 국정농단 사건으로 구속돼 1년간 수감 생활을 하다가 항소심에서 풀려난 이 부회장은 2년4개월 만에 다시 구속의 갈림길에 서게 됐다.
삼성은 7일 '대언론 호소문'을 내고 "어떤 결과가 나오더라도 삼성은 법원과 수사심의위원회 등의 사법적 판단을 존중할 것"이라면서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은 관련 법 규정과 절차에 따라 적법하게 진행됐고, 삼성바이오로직스의 회계처리 역시 국제회계기준에 맞게 처리됐다"고 강조했다. 삼성은 또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무리한 보도를 자제해달라"면서 "합병 성사를 위해 시세를 조종했다는 보도 역시 사실에 기반하지 않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장기간에 걸친 검찰 수사로 삼성의 경영은 위축돼 있다. 이 부회장이 구속될 경우 대규모 투자 결정을 비롯해 경영 전략을 실행하는 데 큰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 글로벌 기업인 삼성의 대외 신인도 추락 역시 피할 수 없다. 외신들도 '삼성의 불확실성이 커졌다'는 보도를 쏟아내고 있다. AP통신은 "삼성이 불안정한 반도체 시황과 미·중 무역분쟁 등으로 고군분투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 부회장의 부재는 회사 의사 결정 과정에 피해를 줄 것"이라고 분석했다.
검찰 수사가 1년6개월이나 이어지면서 삼성 경영진 30여 명이 100여 차례 소환돼 조사를 받았다. 증거 수집이 이미 끝났으니 증거인멸 우려도, 도주 우려도 희박하다. 재계에서는 불구속 상태에서 수사하고 기소할 수 있는데도 검찰이 무리수를 두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재벌 총수라고 해서 특혜를 받아서도 안 되지만 불이익을 당해서도 안 된다. 영장실질심사는 오로지 법과 원칙, 법관의 양심에 따라 구속 사유가 타당한지 심사해야 할 것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상세
사설
[사설] 다시 총수 공백 위기에 내몰린 삼성
- 입력 :
- 2020-06-08 00:03:01
#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인기뉴스
2025-04-18 07:29 기준
-
1
인천서 270명 태워 태국 가던 여객기, 이륙 1시간 후 제주로 회항 왜?
2025-04-17 16:23:00
-
2
오늘의 운세 2025년 4월 18일 金(음력 3월 21일)
2025-04-17 17:40:15
-
3
“75만원 주고 먹었는데 경악, 재료는 ‘똥’ 이었다”…이색 요리에 논란된 이 식당
2025-04-17 22:11:44
-
4
“항상 함께 있었는데”…반려견에 물려 숨진 7개월 아기
2025-04-17 14:58:04
-
5
추성훈 “김동현과 대결해 패배, 충격 너무 컸다”…결국 30년 만에 삭발 왜?
2025-04-17 07:10:25
-
6
“훌륭한 과학자를 잃었다”…한국인 美 대학 조교수, 비자 취소로 돌연 귀국길
2025-04-17 14:41:43
-
7
현대차, 아이오닉 5 생산 또 중단
2025-04-17 18:31:21
-
8
“정말 한국이 만든 車 맞아?”…‘역대급’ 존재감, 제네시스 SUV 끝판왕 예약 [카슐랭]
2025-04-17 06:35:00
-
9
“이재명이 소유한 아파트가 있다”...벌써부터 들썩이는 분당 집값
2025-04-17 21:32:46
-
10
담뱃값도 오른다…금연단체는 “10년째 4500원인데 최소 8천원으로”
2025-04-16 11:45:5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