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시가총액에서 현대차를 앞질렀다. 둘은 규모에서 비교가 되지 않는다. 현대차 자산 총액은 234조7000억원으로 카카오(14조2000억원)의 16배가 넘고 매출은 35배, 영업이익은 17배가량 더 많다. 현재보다는 미래 가치에 가중치를 두는 것이 주식시장 본연의 특성이다. 카카오 같은 기업이 많아져야 한국 경제의 역동성이 살아난다.
코로나19는 산업과 부(富)의 재편을 가속화하고 있다.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 현상이다. 블룸버그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이후 이달 초까지 세계 500대 부자 재산이 10%가량 줄었지만 정보기술(IT)과 헬스 부문에선 부를 늘린 경우가 적지 않았다. 세계 1위 부자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는 1400억달러로 2위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와 격차를 340억달러까지 벌렸다. 비대면 경제 열풍에 힘입어 전자상거래 회사인 아마존 주가가 크게 뛰었기 때문이다. 영상회의 플랫폼 '줌' 창업자 위안정의 재산은 몇 개월 새 2배 넘게 불어났다. 반면 대부분 제조업과 에너지 산업, 명품 산업은 매출과 이익 감소, 주가 폭락과 더불어 기존 재벌들의 재산 감소가 두드러졌다.
비즈니스 세계는 경쟁이 치열하고 변화도 빠르다. 드물게는 기술과 환경의 변화가 전면적·단절적 혁신을 강요하기도 한다. 석유화학, 정보통신, 모바일 산업 등의 출현이 다 그랬다. 코로나19는 신산업 출현을 넘어 전 산업에 새로운 문법을 요구하고 있다. 변화하는 조류에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기업과 국가의 흥망이 갈린다. 창조적 혁신이 여기저기서 나와야 한다. 한국은 주식시장에선 인터넷과 바이오주가 각광받고 있지만 자산 기준 재계 서열은 전통 제조기업들이 상위권을 독식하고 있다. 미국에 비해 재계 세대교체가 매우 느리다. 그런 점에서 코로나19를 새로운 산업을 등장시키고 기존 산업의 체질을 바꾸는 기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건 기업의 몫이다. 기업이 변신할 수 있는 마당을 조성하는 것은 정부의 몫이다. 산업지형 격변이 치열할수록 한국 경제 미래가 밝아진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상세
사설
[사설] 현대차 시총 제친 카카오, 산업지형 격변 치열할수록 좋다
- 입력 :
- 2020-05-25 00:02:01
#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인기뉴스
2025-04-22 15:49 기준
-
1
“사업가 셋 만난 女연예인”…신정환, 연예계 성상납 폭로
2025-04-21 21:59:40
-
2
초밥 90인분 주문하고 안 나타난 軍 대위…전화로 한다는 말이
2025-04-20 10:57:20
-
3
“고객님, 냉장고 고장 위험이 있네요”…피싱 문자인 줄 알고 무시했더니
2025-04-21 23:01:00
-
4
[속보]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대법원 전원합의체 회부
2025-04-22 12:08:33
-
5
부산 금정구청장 필리핀 휴가 중 ‘이곳’ 갔다가 구설…어디길래
2025-04-21 18:37:18
-
6
까끌해도 일부러 챙겨 먹었는데…‘1급 발암물질’ 나온 건강식품 ‘충격’
2025-04-22 08:15:34
-
7
금리 인하기 연 15% 적금?…“선착순 30만명만 받습니다”
2025-04-22 10:09:14
-
8
“이재명은 매력적, 홍준표 돈줘도 안만나”…분노한 김부선, 무슨일이
2025-04-22 07:50:13
-
9
“생방송 중에 거짓말 하시면 안된다”…엄지인, 출연자에 경고한 까닭
2025-04-22 08:31:40
-
10
[단독] “이게 바로 팬덤의 힘” 하루 만에 29.4억 모은 이재명과 한동훈
2025-04-22 11:08:4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