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설

[사설] 추락하는 대형마트, 영업규제 재검토해야

입력 : 
2019-08-12 00:02:01

글자크기 설정

국내 1위 대형 할인점인 이마트가 2011년 신세계그룹에서 법인을 분리한 후 처음으로 분기 적자를 기록해 충격을 주고 있다. 이마트는 올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4조5810억원, 영업손실 299억원을 기록해 적자전환했다고 지난 9일 공시했다. 적자 폭도 시장 예상(47억~105억원)을 웃돌았다. 롯데마트도 2분기 영업손실이 339억원으로 적자를 지속했다. 대형마트 위기설은 2~3년 전부터 돌았지만, 두 업체가 동시에 실적 쇼크를 겪으며 위기감은 가속화할 전망이다.

대형마트의 업황 부진은 무엇보다 유통시장의 패러다임 변화 때문이다. 인구구조의 변화와 디지털 혁명 물결로 소비 패턴이 바뀌고 이커머스(전자상거래) 시장이 커졌지만 기존 유통 공룡들은 시장 흐름에 둔감했던 게 사실이다. 실제로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2017년 91조3000억원에서 2018년 111조8939억원으로 20% 이상 늘어났지만, 대형마트는 2017년 33조8000억원에서 지난해 33조5000억원으로 뒷걸음질 쳤다. 특히 쿠팡, 11번가, 위메프, 마켓컬리 등 국내 온라인 업체들은 새벽배송 선점과 신선식품 배송 강화 등 서비스 차별화로 대형마트 영역까지 잠식하고 있다.

이처럼 온라인쇼핑이 급성장하면서 대형마트 입지도 좁아지고 있다. 미국만 해도 올 2분기 7400개 이상의 쇼핑매장이 문을 닫았을 정도다. 대형마트 추락은 최저임금 인상,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신기술 접목과 맞물려 유통 부문의 일자리 대폭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국내 대형마트의 발목을 잡는 또 다른 요인은 '월 2회 의무 휴업'이라는 영업 규제다. 2012년 '전통시장과의 상생'을 내세워 유통산업발전법이 시행된 이후 대형마트가 월 두 차례 휴업을 하고 있지만, 정작 전통시장 소비는 늘지 않고 '휴업 사각지대'인 식자재마트 등의 매출만 늘고 있다. 조춘한 경기과학기술대 교수의 '2013~2018년 6월 슈퍼마켓 규모에 따른 주변 점포 수 변화' 분석에 따르면 5년 동안 연매출 50억원 이상 슈퍼마켓은 124% 증가한 반면, 5억원 미만 자영업자 점포 수는 28% 줄었다. 이처럼 영업규제가 당초 도입 취지인 '골목상권 보호'에 효과가 없고 오히려 대형마트 생존을 위협한다면 이제라도 규제를 재검토하는 게 옳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