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문 대통령·원내대표 28일 회동, 협치·생산적 국회 전기되길

2020.05.25 03:00 입력 2020.05.25 03:06 수정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원내대표가 28일 청와대에서 오찬 회동을 한다. 더불어민주당 김태년·미래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가 대통령 초대에 흔쾌히 응했고, 미리 정한 의제나 배석자 없이 국정 전반에 대해 대화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예고됐다. 21대 국회 개원을 앞둔 시점도, 대통령과 새로 선출된 여야 교섭단체 사령탑이 허심탄회하게 얘기를 주고받는 형식도 눈길이 간다. 문 대통령은 6월 초 국회 의장단·원구성 협상이 끝나는 대로 개원국회 연설도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코로나19 국난의 조기 극복과 새 정치의 희망을 보여주는 ‘5말6초’ 개원 정국이 펼쳐지길 바란다.

대화 테이블엔 역시 할 일이 산적한 코로나19 대응 문제가 먼저 오를 것이다. 본격화한 고용 위기와 실물경제 타격을 헤쳐갈 3차 추경이 개원국회의 첫 과제가 됐다. 방역을 성공적으로 이끌고 있는 질병관리본부를 전국 조직을 갖춘 ‘청’으로 승격시키는 정부조직법 개정도 시급하다. 디지털·비대면·생활 SOC와 그린뉴딜로 방향을 잡은 ‘한국형 뉴딜’도 국회의 입법과 예산 검증이 수반돼야 한다. 특고 노동자 앞에서 멈춘 고용보험 대상 확대도 속도를 내야 한다. 모두 위기에 처한 가계·기업을 살리고, 일자리를 만들고, 또 닥칠 수 있는 코로나19 대유행을 대비해 서둘러야 할 일이다. 국난 극복엔 여야가 없었다는 말이 들려야 한다.

협치의 제도화도 회동에서 중요하게 다뤄져야 한다. 문 대통령과 여야 5개 정당 대표들이 합의한 ‘여·야·정 상설협의체’는 공전을 거듭해왔다. 상생 약속은 간데없이 힘 대결과 장외투쟁만 되풀이된 20대 국회였다. 4년마다 6월 개원국회 연단에 선 역대 대통령의 화두는 보수든 진보든 협치·화합·소통이었다. 여도 야도 반성과 성찰을 토대로 새롭게 관계를 정립해야 한다.

4·15 총선에서 참패한 야당에서 근래 변화가 시작된 것은 의미가 작지 않다. 주 원내대표가 5·18 40주년 기념식에서 통합당의 5·18 폄훼를 사과하고, 당 지도부로선 4년 만에 노무현 전 대통령 11주기 추도식에 참석한 것은 협치와 통합의 마중물이 될 수 있다. 20대 국회가 n번방 방지법과 과거사법을 매듭짓고 공인인증서를 폐지한 본회의로 마무리한 것도 평가할 만하다. 21대 국회도 첫 고비가 될 원구성부터 대화의 동력을 이어가야 한다. 국민을 보고 가는 정치, 역지사지하는 정치, 통 큰 제안과 성과를 내는 새 정치를 보고 싶다. 대통령이 두 교섭단체 원내대표와 시작한 국정 협의가 정례화되고, 이것이 정당 대표들과의 대화로 확장되기를 기대한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