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개학에 부활절·총선까지, ‘물리적 거리 두기’ 견지해야

2020.03.29 21:07 입력 2020.03.29 21:18 수정

정부가 다음달 6일로 정해놓은 전국 유치원과 초·중·고교의 개학을 다시 연기할지 여부를 놓고 고심하고 있다. 이미 3차례나 개학을 연기하면서 쌓인 학습결손과 학사일정 차질, 각 가정의 피로도가 심각해 다시 개학을 미루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학생들의 등교 시 불안감이 커 학교 안팎에선 개학 연기론이 우세하다. 정세균 국무총리와 전국 시·도교육감들의 지난 28일 간담회에서도 대다수 교육감들은 6일 개학에 반대했다고 한다. 정부는 학교별 차등 개학 등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되 6일 개학을 고집하는 것은 현명하지 못하다는 게 우리의 판단이다.

코로나19 상황은 잦아들 기미가 없다. 신규 확진자는 최근 다시 100명을 넘어섰으며, 해외발 입국자의 확진이 각 지역의 새로운 감염원이 되고 있다. 급기야 정부는 29일 모든 입국자에 2주간 자가격리 강제 방침을 발표했다. 학교 현장의 수업·급식 환경도 안전을 담보하기에는 미흡하다. 미성년 확진자 수는 29일 현재 600명을 넘어 3번째 개학연기를 발표하던 2주 전의 2배에 육박했다. 압도적 다수의 교사와 학부모, 감염전문가들이 개학에 반대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더구나 각급 학교의 개학은 학교를 넘어 사회 전체에 ‘일상으로의 복귀’ 신호를 주면서 지역사회 감염의 불씨가 될 수 있다. 다음달 12일 개신교의 대표적 행사인 부활절과 15일 총선 등 대규모 행사들도 코로나 확산의 불씨가 될 수 있다. 일부 중대형교회들은 부활절을 앞두고 다음달 5일 현장 예배를 하는 것으로 의견을 모았다고 한다. 최근 구로구 만민중앙교회 등에서 지속적으로 무더기 감염이 나오는 점을 무시한 유감스러운 처사이다. 불교계가 4월30일 부처님오신날 봉축행사를 한 달 뒤로 연기한 것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총선 후보자들 역시 유권자 대면을 통한 선거운동 유혹에 빠질 수 있다. 어느 것도 국민 안전에 우선할 수 없음을 정치권은 명심해야 한다.

정부는 지난 22일부터 4월5일까지 2주간을 ‘사회적 거리 두기 강화기간’으로 설정하고 행사와 외출 자제를 호소해 왔다. 그러나 국내외 환경 변화로 장기전을 대비해야 할 시점이 왔다. 시민들과 의료진의 피로감이 가중되고 있지만 물리적 거리 두기를 더욱 철저히 해야 일상 복귀도 빨라질 수 있다. 거리 두기 긴장의 고삐를 다시 다잡아야 한다. 정부는 개학을 포함한 각종 코로나 대책을 장기적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재점검해야 한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