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정치권의 ‘세대교체’ ‘청년 정치’ 구호 결국 빈말로 끝나나

2020.02.12 20:36 입력 2020.02.12 20:44 수정

이번에도 ‘젊은국회’ ‘청년정치’는 헛된 꿈일런가. 여야 정당이 한목소리로 세대교체 공천과 ‘젊은피’ 수혈을 내세웠지만, 막상 지역구 공천 접수 결과는 너무 빈약하다.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의 4월 총선 지역구 공천 신청자 1122명 가운데 2030세대 후보자는 3.6%(41명)에 그쳤다. 민주당 신청자 475명 중 20대는 한 명도 없고 30대는 9명(1.9%)에 불과하다. 한국당은 647명 중 20대는 2명, 30대는 30명으로 집계됐다. 청년 충원에 실패하면서 전체 공천 신청자 중 50대 이상이 90%에 육박한다. 현역의원이 교체되는 지역을 청와대 참모나 법조·관료 출신 새로운 ‘586’이 주로 차지해 ‘수직적’ 물갈이는 까마득해진 상황이다.

정치신인 청년에게 당내 경선은 높디높은 장벽이다. 민주당과 한국당의 영입인재 중 30대 일부가 포함되면 늘어날 수 있겠지만, 최종 공천자 중 2030 비율은 지난 20대 총선 수준을 크게 벗어나기 힘들 판이다. 20대 총선 당시 민주당과 새누리당 공천자 중 2030세대는 각각 6명에 불과했다. 2030 당선자는 달랑 3명, 20대 국회의원 평균 연령은 55.5세로 역대 최고령이었다. 청년 대표성 측면에서 세계 최악의 국회는 단순히 유권자의 선택 결과가 아니라 당내 경선과 공천 과정에서 ‘기득권 카르텔’이 작동한 결과다.

여야 정당이 앞다퉈 청년정치를 강조하며 영입과 공천 경쟁을 벌여온 것은 여느 때보다 높아진 세대교체 열망을 외면할 수 없었기 때문일 터이다. 외양은 요란했지만, 애초 젊은 정치인을 키우려는 의지도 부족하고 지역구 기회 등 기득권의 벽을 허무는 데 소극적인 탓에 결과적으로 이번 총선에서도 청년정치의 집단화는 요원해졌다. 게다가 청년 인재영입도 흥행에만 치중한 깜짝쇼 이벤트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 단지 낡아빠진 정당의 얼굴을 화장할 ‘비비크림’으로 청년을 소비하면서 미래세대를 운위하는 건 언어도단이다.

빈약한 환경이지만, 여야 정당은 비례대표 당선권과 전략지역에 2030세대와 40대를 우선 공천하는 노력을 포기하지 말아야 한다. 과거처럼 청년에게 비례대표 몇 석을 선심 쓰듯 떼주고 전략지역 한두 곳 공천하는 수준에 그치면 ‘늙은정치’를 바꿀 기회는 사라진다. 21대 총선은, 정치에서 ‘미래’가 제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청년정치가 튼튼히 뿌리내리는 계기적 선거가 되어야 한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