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사망 이후 애플은 왜 더 강한가[오늘과 내일/하임숙]

  • 동아일보
  • 입력 2020년 8월 24일 03시 00분


코멘트

제품 혁신 뛰어넘어 생태계 혁신 이뤄… 훌륭한 리더는 업의 정의를 바꾸기도

하임숙 산업1부장
하임숙 산업1부장
“더 이상 혁신은 없을 것이다. 애플은 추락할 일만 남았다.”

2011년 10월 스티브 잡스가 사망했을 때 많은 전문가는 이렇게 예측했다. 혁신의 아이콘이자 애플 그 자체였던 잡스의 뒤를 이은 팀 쿡이 제2의 잡스가 되지 못할 것이라는 것을 전제로 한 예측이었다. 실제로 그는 제2의 잡스가 되지 않았다. 다만 독보적인 쿡이 됐을 뿐이다.

지난주 금요일 미국 나스닥 증시에서 애플의 시가총액은 종가 기준으로 2조1270억 달러였다. 시총 2조 달러를 넘은 건 미국 기업으로 최초, 세계에선 중동 석유기업 아람코 이후 두 번째다. 잡스 사망 즈음 애플의 시총이 3500억 달러였으니 9년 사이 6배로 뛰었다. 그 기간 동안 애플 매출액은 3배로, 아이폰만 따로 떼어낸 매출은 5배로 뛰었다.

실제로 아이폰 자체의 혁신은 크게 없었던 이 시기에 무슨 일이 일어났기에 애플은 더 강해졌을까. 답은 이렇다. 애플은 혁신으로 퀀텀점프를 이뤘다. 다만 혁신의 분야가 휴대전화 제조·디자인에서 휴대전화를 둘러싼 서비스 생태계 구축으로 바뀌었을 뿐이다.

애플은 더 이상 휴대전화를 만들어 파는 회사가 아니다. 과거에도 휴대전화의 핵심 개발능력과 디자인만 회사에 두고 제조는 폭스콘에 맡겼으니 삼성전자 같은 정통 제조업체와 달랐지만 지금의 애플은 제조업의 겉모습을 한 종합 서비스 기업이다. ‘애플 피플’을 거느린 거대한 공화국의 지배자다. 애플 공화국민들은 애플 안에서만 영화를 보고 게임을 하고 쇼핑을 하고 비행기를 예약한다. 버크셔해서웨이의 워런 버핏 회장은 “애플은 더 이상 기술주가 아닌, 일반 소비자와 밀접한 소비재 기업”이라고까지 했다.

같은 아이디를 이용할 경우 새 아이폰으로 바꾸더라도 자신이 아이폰을 이용하기 시작한 시점부터 지금까지의 역사가 고스란히 남는다. 마치 어린 시절 사진첩을 버릴 수 없듯이 아이폰에서 안드로이드로 갈아타기 힘들다. 애플 공화국민들은 애플이 제공하는 앱스토어에서 애플에 수수료 30%를 군말 없이 내는 전 세계의 훌륭한 앱들을 내려받아 누적된 역사에 또 다른 역사를 추가한다. 앱 개발사가 30% 수수료가 너무 큰 부담이라며 자체 결제시스템으로 갈아타려 하면 이 앱은 바로 애플 공화국에서 사라진다. 앱 개발사가 조지 오웰의 소설 ‘1984’의 감시자 ‘빅 브러더’가 따로 없다며 공격해도 애플 공화국민들은 크게 상관하지 않는다. 이미 생태계에 길들여졌고 그 한두 개 앱이 없어진다 하더라도 누릴 수 있는 다른 혜택이 크기 때문이다. 애플에 주기적으로 돈을 내는 이용자는 5억5000만 명으로 1년 전보다 1억3000만 명이 늘었다.

이 같은 생태계 구축 시도가 잡스 생전에 없었던 건 아니다. 하지만 잡스는 천재적인 기질을 가졌고 추앙받는 걸 당연시했기 때문에 제품의 혁신으로 세계를 놀라게 하는 걸 즐겼다. 2010년 기준 애플의 서비스 매출은 아이폰 매출의 7.5%에 불과했다. 하지만 지난해 말 기준으로 이 비중은 22%를 넘어섰다. 쿡 덕분이다.

쿡은 2007년부터 최고운영책임자(COO)로 애플의 안살림을 맡은 공급망 관리 전문가다. 애플이라는 기업이 실제로 어떻게 돌아가는지는 잡스보다 쿡이 더 잘 알았을 것이다. 쿡이 생태계 구축이 애플의 미래라고 본 건 이처럼 우연이 아니다. 잡스가 살아 있었다면 어쩌면 애플은 여전히 세계 최고의 혁신적 제품을 내는 회사에 머물렀을 수 있다.

성공한 기업의 발목을 잡는 건 기존 성공의 경험인 경우가 많다. 쿡의 애플은 이 함정을 뛰어넘었다. 리더는 조직을 단숨에 멍들게도 하고 흥하게도 한다. 업의 정의까지 바꾸는 훌륭한 리더를 일찌감치 가진 건 애플의 행운이다.

하임숙 산업1부장 artemes@donga.com
#잡스#애플#혁신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