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설

[사설] 팬데믹 2차 확산 조짐, 방역체계 재정비해 장기전 대비를

입력 : 
2020-06-29 00:01:02

글자크기 설정

전 세계 코로나19 확진자가 28일 1000만명을 넘어섰다. 중국이 지난해 12월 31일 세계보건기구(WHO)에 코로나19 의심 증세를 보고한 지 6개월 만이다. 미국과 중남미 국가를 중심으로 확진자가 급속히 늘고 있고 남아시아와 중동의 확산세도 심상치 않다. 이런 추세라면 가을께 2차 팬데믹이 덮칠 가능성이 높다.

국내 상황도 심각하다. 신규 확진자는 일주일 만에 다시 60명대로 늘었다. 수도권 집단 감염이 지역으로 확산되고 해외 유입 사례도 늘고 있는 탓이다. 무엇보다 전파 경로를 모르는 깜깜이 감염이 10%가 넘는다는 게 걱정이다. 무증상 감염자로 인한 '조용한 전파'는 방역 노력을 무력화할 수 있다.

팬데믹 2차 확산 피해는 예상조차 하기 어렵다. 각국이 확산을 막기 위해 다시 봉쇄 조치에 들어가면 수출은 직격탄을 맞는다. 국내에서도 방역 수위가 높아져 내수가 얼어붙을 수밖에 없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코로나19가 재확산하면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이 -7.6%까지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1차 확산으로 끝났을 때에 비해 1.6%포인트 낮아진다는 것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최근 발표한 올해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는 -2.1%다. 지난 4월에는 -1.2%였는데 두 달 만에 0.9%포인트나 떨어졌다. OECD도 코로나19 2차 확산을 가정했을 때 한국 경제성장률이 -2.5%까지 추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충격을 최소화하려면 장기전에 대비한 방역시스템 재정비가 필요하다. 경제적 피해를 감안해 '사회적 거리 두기'를 획일적으로 강화하기 어려운 만큼 생활방역 체계를 훨씬 더 치밀하게 짜야 한다. 수도권 집단 감염과 지역 전파의 연결 고리를 끊고 조용한 전파를 차단할 효과적인 방안을 찾는 것이 시급하다. 중증환자의 병상과 의료진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해외 유입을 막기 위한 입국 제한과 관리 등 보완해야 할 사안이 한둘이 아니다. 시민들의 무뎌진 경각심도 다시 다잡아야 한다. 확진자가 일부 지역에 집중됐던 1차 확산 때보다 훨씬 더 힘겨운 싸움이 될 것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