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5번째 돼지열병 발생, 재난수준으로 대처해야

2019.09.24 21:04 입력 2019.09.24 21:06 수정

경기 북부지역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이 이어지고 있다. 24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17일 ASF가 파주에서 발생한 이후 연천(18일), 김포(23일)로 확대됐다. 24일에는 파주와 강화도에서 또다시 확진사례가 나왔다. 일주일새 5곳에서 ASF가 발생했다. 경기 북부의 방역망이 뚫린 것이다. 그간 당국은 첫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10㎞의 방역대를 설정해 한강 이북 접경지역 방역에 집중해왔다. 그런데 이 방어벽이 무너진 것은 물론 확산 조짐을 보이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전국 확대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이다. 당국 역학조사 결과 ASF는 차량에 의한 전파 가능성이 제기됐다. ASF가 처음 발생한 파주 농장을 방문했던 차량이 2~4차 확진사례가 나온 농장을 방문한 사실이 드러난 것이다. 문제는 이들 차량이 경북 등 남부지방까지 운행한 사실이 밝혀져 비상이 걸린 상태다.

주지하듯이 ASF는 중국과 베트남의 돼지농장을 초토화하고 북한에까지 전파됐다. 북한과 인접한 한국은 ASF 발생을 막을 철저한 대책이 요구됐다. 하지만 예방 방역에 실패해 파주에서 ASF가 발생했다. 더구나 파주에서 처음 발병했을 당시 당국의 조치도 안이했다. 급하게 이동중지명령을 내렸으나 이틀에 그쳤다. 농장들의 경제활동을 감안한 조치였다. 그러나 ASF는 바이러스로부터 돼지를 격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단기적으로 돼지고기 수급에 악영향을 미치더라도 원인이 규명될 때까지 통제가 이뤄져야 하는데 틈이 생긴 것이다. 이와 함께 경기 북부지역 농장 전수조사를 통한 전염병의 실태 파악은 물론 확산단계별 방역대책도 마련해야 할 것이다.

ASF는 조기 방역이 성패의 관건이다. 이 기간을 놓치면 끔찍한 사태가 발생한다. 일단 전염되면 100%가 죽는다. 백약이 무효다. 지금 막지 못하면 양돈농가가 초토화될 수 있다. 양돈과 연관된 산업과 요식업 등 서민 경제도 큰 어려움에 봉착할 수 있다. 정부가 ASF확산에 재난사태 수준으로 경계를 강화해야 하는 이유다. 정부는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과도하다 싶을 정도의 강력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그리고 농장 관계자들도 의심사례를 즉시 신고해 조기 차단할 수 있도록 솔선해야 한다. 그래서 단기적으로 피해가 있더라도 ASF 바이러스가 확산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