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열린 여야 원내대표 오찬 회동에 앞서 주호영 미래통합당 원내대표와 악수하고 있다. 가운데는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원내대표.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열린 여야 원내대표 오찬 회동에 앞서 주호영 미래통합당 원내대표와 악수하고 있다. 가운데는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원내대표.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미래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가 28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오찬 회동을 하고 ‘상생과 협력의 정치’를 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고 한다. 21대 국회 개원을 앞두고 대통령과 여야 원내대표가 ‘협치’를 강조한 건 의미 있는 일이다. 그러나 20대 국회에선 결국 ‘빈 약속’으로 끝났음을 국민은 기억하고 있다. 이번엔 말이 아닌 행동으로 이어져, 당장 전례 없는 코로나 경제위기에 초당적 대처를 해나가길 기대한다.

지금 한국 경제가 처한 상황은 몹시 어렵다. 한국은행이 28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기준금리를 0.75%에서 0.5%로 내린 건 국내외 경기 침체가 그만큼 심각하다는 뜻이다. 한은이 예측한 올해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0.2%로, 2월 전망치 2.1%보다 2.3%포인트나 낮아졌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와 국회가 힘을 모아 긴급 대응책을 마련하고 발빠른 민생 입법에 나서는 건 절실하다.

그런 점에서 “코로나에 신속한 조처가 필요하다”는 문 대통령의 말에 주호영 원내대표가 “적극 돕겠다”고 호응한 건 바람직하다. 앞으로 최소한 경제·민생 문제에선 여야가 대립이 아닌 ‘국민을 위한 경쟁’을 한다는 자세로 나서길 바란다.

광고

이날 회동에서 주호영 미래통합당 원내대표는 청와대-야당 대화를 원활하게 하자면서 정무장관직 신설을 제안했다. 과거 정부에서도 정무장관을 둔 적이 있는데, 청와대 정무수석과의 업무 중복 등의 이유로 폐지했다. 야당이 원활한 대화를 위해 정무장관직 신설을 바란다면 열린 자세로 논의해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코로나로 인한 경제위기뿐 아니라 미-중 간 ‘신냉전’ 기류로 인해 그 어느 때보다 정부-국회 사이 긴밀한 협의와 협력이 필요한 시기다. 국내외적 변화에 대응해 ‘협치’를 제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는 건 바람직하다고 본다.

2시간 넘게 이어진 회동에선 원전 정책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출범을 위한 후속 입법, 국회 원구성 문제 등에 대해서도 폭넓게 의견을 나눴다고 한다. 청와대와 여야 브리핑을 보면, 이런 쟁점 사안들에선 뚜렷한 합의나 진전이 이뤄진 것 같지는 않다. 하지만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다. 중요한 건 허심탄회한 대화를 자주 함으로써 20대 국회에서와 같은 ‘대립을 위한 대립’ 양상을 뛰어넘는 일이다. 이를 위해선 대통령이 먼저 손을 내밀어야 한다. 앞으로 대통령과 여야 국회의원들이 자주 만나는 모습을 보고 싶다.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