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꼬리 무는 수도권 집단감염, “코로나 안전지대는 없다”

2020.06.11 03:00 입력 2020.06.11 03:05 수정

국내 코로나19 사태가 심상치 않다. 이달 들어 신규 확진자가 연일 30~50명대를 유지하고 있다. 물리적 거리 두기 요건에 해당하는 ‘신규 확진자 50명 이상’이 발생한 날도 사흘이나 됐다. 특히 산발적 소규모 집단감염이 계속되면서 2차 대유행의 조짐마저 보이고 있다. 생활방역 체계로 전환한 지 한 달이 지났지만, ‘생활 속 거리 두기’ 정착은 요원하다. 감염세가 확산된다면 물리적(사회적) 거리 두기로 회귀해야 할지도 모른다. 외국의 부러움을 샀던 한국의 방역체계가 시험대에 오른 양상이다.

특히 문제가 되는 곳은 수도권이다. 6월1~8일 지역사회 확진자 313명 가운데 서울·경기·인천의 확진자는 96.7%(303명)에 달했다. 인천 개척교회(92명), 부천 쿠팡물류센터(144명), 서울 리츠웨이 방문판매업체(93명), 서울 양천구 탁구장(54명) 등 최근 집단감염 사례는 모두 수도권에서 나왔다. 지방 감염 사례도 수도권과 연결돼 있다. 10일 서울·경기의 누적 확진자가 2000명을 넘어섰고, 인천을 포함하면 2300명에 달한다. 수도권이 대구·경북에 이어 코로나19의 2차 진원지가 됐다.

수도권 감염은 거개가 집단발병인 데다 감염경로가 불명확한 ‘깜깜이 환자’ 비율이 높다는 게 특징이다. 유흥주점, 물류센터, 방문판매 사업장, 쉼터, 종교시설 등 방역 사각지대에서 꼬리를 무는 감염이 이어지면서 집단감염의 불씨가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수도권 확진자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층이 많은 점도 주목해야 한다. 예상치 못한 변수들이 돌출하면서 코로나19 사태의 앞날을 전망하기도 어렵다.

코로나19 장기화 속에서 집단감염이 이어지고 깜깜이 환자 비율이 늘면서 더 이상 코로나19 안전지대는 없다. 방역당국이 수도권에 한해 지난달 29일부터 공공시설 운영중단, 고위험시설 운영자제 등 고강도 카드를 꺼내들었지만, 확산세를 막지 못하고 있다. 어제부터는 8개 고위험시설에 대해 QR코드를 활용한 전자출입명부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행정 명령·조치만으로 코로나19를 차단하기란 불가능하다. 경제활동·교육 등을 다시 통제하는 고강도 거리 두기로 돌아가기도 쉽지 않다. 정부의 방역조치에 앞서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물리적 거리 두기를 실천해야 한다. 백신이 개발될 때까지는 3밀(밀폐·밀집·밀접) 시설의 방문을 자제하고 손 씻기·마스크 착용을 생활하는 것 이외에 뾰족한 대책은 없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