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가끔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이 통지되잖아요.
제 경우 64년생이라 63세부터 수령인데 60세 납부완료 퇴직후 63세까지는 미납기간인데 그걸 반영한 예상수령액을 통지해 주는 것인지,
아니면 60세 퇴직후 수령직전까지 임의가입 방식으로 기존 회사부담분까지 계속 납부했을 경우의 예상수령액인지 궁금합니다.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2017.07.30.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질문]
제 경우 64년생이라 63세부터 수령인데 60세 납부완료 퇴직후 63세까지는 미납기간인데 그걸 반영한 예상수령액을 통지해 주는 것인지,
아니면 60세 퇴직후 수령직전까지 임의가입 방식으로 기존 회사부담분까지 계속 납부했을 경우의 예상수령액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국민연금에 관해 궁금증이 많으시군요?!
국민연금 납부액, 조기수령, 예상 수령액은
잘 알아두셔야 내 연금, 내 돈을 지킬 수 있습니다.
해당 금액은 납부기간까지 전액 납부하였을 때 받을 수 있는 납부예상액입니다.
정확한 계산이 필요한 듯 보입니다!
정확한 계산방법은 아래에 잘 정리해두었으니, 확인하시고 궁금한 점 풀어보세요!
2024.07.18.

Q.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A.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은 3년간의 미납 기간이 반영되어 나왔을 가능성이 있는데요.
아래에서 최초 자격일과 마지막으로 자격 상실시점을 넣고 계산해보면 예상 수령액을 알 수 있습니다.
질문자님 답변드리려고 꼼곰히 찾아본 내용입니다.
아래 참고하시면 도움될것에요!
2024.10.16.
[질문]
국민연금공단 관계자분.
가끔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이 통지되잖아요.
제 경우 64년생이라 63세부터 수령인데 60세 납부완료 퇴직후 63세까지는 미납기간인데 그걸 반영한 예상수령액을 통지해 주는 것인지,
아니면 60세 퇴직후 수령직전까지 임의가입 방식으로 기존 회사부담분까지 계속 납부했을 경우의 예상수령액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질문자님의 질문에 대한 답변드리겠습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은 말 그대로 예상수령액입니다. 국민연금공단에서 예상수령액을 조회해 보실 수 있는데
이때 납부하신 금액과 함께 60세까지 납부하는 것으로 납부기간을 기재하시면 그대로 반영되어 나올 겁니다.
질문자님이 말씀하신대로 60세 이후 임의가입 방식으로 63세까지 납부를 이어가신다면 예상수령액은 너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와 관련 자세한 내용 알고 싶으시다면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2024.11.25.
안녕하세요.
국민연금공단에서 발송되는 가입내역 안내서에 나오는 예상연금액은
현재 보험료로 만60세까지 중단 없이 납부할 경우,
향후 소득 및 물가가 변동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여 현재 시점으로 산정된 금액입니다.
따라서 향후 납부하는 보험료가 상향되거나 만60세부터 연금받기 전까지 임의계속 가입을 할 경우
연금액이 늘어나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17.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