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질문
접지의규격이 궁금함니다
sork****
조회수 31,191
작성일2003.12.17
제가 자동문 업체에 근무하고 있는데요 접지의 규격이 궁금함니다.^^아직 초보라서요 .
접지규격에 대해서 조금이라두 아시는분들은 자료좀 올려주세요 열심히 배우겠음니다.
작은 가르침이라두 소중히!!
접지규격에 대해서 조금이라두 아시는분들은 자료좀 올려주세요 열심히 배우겠음니다.
작은 가르침이라두 소중히!!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번째 답변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전기·통신 기계기구 및 피뢰설비의 접지공사에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중 이 시방서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다음 시방서의 해당 사항에 따른다.
60210 배관
60220 배선
1.3 적용규준
다음 규준은 이 시방서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내에서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한국산업규격(KS)
KS C 2621 동선용 나압착 슬리브
KS C 3302 600V 비닐 절연 전선(IV)
KS C 0804 접지선 및 접지측 전선의 색별 통칙
1.3.2 전기용품기술기준
1.4 제출물
다음 사항은 "10130 제출물"에 따라 제출한다.
1.4.1 자재 제품자료
가. 제작도면
1) 접지 시험 단자함 외형도(측면도, 정면도 포함)
2) 접지단자 및 연결버스바 규격 및 형태
나. 시공상세도면
1) 변전실내 접지 인출입 부분
2) 접지도선 인출위치
1.4.2 견본
가. 접지극(접지동봉) 1조
나. 동선용 나압착 슬리브 및 클램프 각 3개
1.4.3 보고소
가. 접지저항 측정 보고서
1.5 시공전협의
가. 접지선과 접지극 매립시 토목공사의 오·배수관로, 지역난방 및 도시가스 배관 등과 중복되지 않도록 해당 수급이과 사전협의를 하여야 한다.
나. 지하츨 내부에 접지시험 단자함을 설치할 때에는 건축 우수 드레인이나 설비배관 등과 중복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자재
2.1 배관
가. 배관의 종류 및 크기는 설계도면에 다른다.
나. 배관은 "60210 배과"에 따른다.
2.2 접지선
가. 접지선의 종류 및 크기는 설계도면에 따른다.
나. 600V 비닐절ㅇ연전선(IV)은 KS C 3302에 적합한 제품이어야 한다.
다. 전선색상은 녹색을 사용하여야 한다.
라. 접지단자함 2차에서의 접지선은 나동선을 사용한다.
마. 배선은 "60220 배선"에 따른다.
2.3 접지 시험단자함
가. 함 크기 및 설치위치는 설계도면에 따른다.
나. 재질 : 함 및 뚜껑은 강판 두께 1.6mm이상을 사용한다.
다. 도장은 소부도장이나 정전분체도장으로 하여야 한다.
1) 소부도장은 KS M 5311의 2종에 적합한 광명단을 사용하여 내·외부에 1회를 칠하고, KS M 5312의 1급에 적합한 지정색의 조합페인트를 사용하여 2회를 칠한 후 가열건조하여야 한다.
2)정전부체도장은 함체의 내·외면에 인산염 피막처리한 후 도막두께 45㎛이상으로 도장을 하고, 표면온도 180°C이상에서 14분이상 가열건조하여야 한다.
라. 접지단자 및 뚜껑의 볼트는 스테인리스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마. 연결버스는 동대를 가공한 일체형으로 25mm×3mm이상을 사용한다.
바. 베크판은 두께 10mm이상을 사용한다.
사. 접지단자는 20mm×20mm×50mm이상이어야 한다.
2.4 접지극
가. 접지극은 동봉을 사용하고, 접지공사별 규격은 다음을 기본으로 한다.
1) 제1,2종 접지공사 : 지름 16mm, 1800mm×4개 및 지름 14mm 1000mm×1개
2) 제3종 접지공사 : 지름 14mm 1000mm×2개
(단, 옥외 보안등용은 지름 14mm 1000mm×1개)
3.시공
3.1 배관
배관은 "60210 배관"에 따른다.
3.2 접지공사의 종류
접지공사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종 류
저 항 치
제 1 종
10Ω 이하
제 2 종
150V/1선 지락전류(A) 이하
제 3 종
100Ω 이하
3.3 접지대상기기
가. 접지대상기기 및 위치는 설계도명에 따른다.
나. 접지대상기기에 따른 접지공사의 종류는 다음에 따른다.
1)전기
접지대상 기기
사용전압
접지종류
비 고
피뢰기, 피뢰침
전 체
제 1 종
타접지와 공용불가
수배전반
동력반
분전반류
계량기함
풀 박 스
전동기류
기타 장비류
특별고압
제 1 종
외함접지 상호공용가능
저 압
제 3 종
외함접지 상호공용가능
변압기 중성점(2차측)
제 2 종
변압기상호가 연접가능
발전기 중성점
제 3 종
타접지와 공용불가
2) 통신
접 지 대 상 기 기
접 지 종 류
·주배선 바 (MDF)
·국선단자함(100 회선초과)
·국선단자함(100 회선이하)
·MDF 설치지구의 각 동주전화단자함
·보안기용접지
·확성기용 증폭기
제 1 종 접지
"
제 3 종 접지
"
"
"
3.4 접지시공
가. 접지극은 지하 1m이상의 깊이에 매설한다.
나. 2개 이상의 접지극을 같은 장소에 시공할 경우 접지극 상호간의 간격은 2m이상이 되도록 한다.
다. 접지선은 가스관으로부터 1.5m이상 이격시켜야 한다.
라. 접지극은 건축물로부터 2m이상 이격시켜야 한다.
마. 접지선이 외상을 받을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금속관 또는 합성수지관 등에 넣어서 보호하여야 한다. 다만 피뢰치, 피뢰기용 접지선을 간제 금속관에 넣지 않는다.
바. 접지도선의 접속은 전기적으로나 기계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하여야 한다.
사. 설계도면에 따라 접지극을 설치하여도 요구되는 접지저항치를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접지봉을 추가로 설치하거나 위치 및 시공방법을 조정하여 필요한 접지저항치를 얻도록 하여야 한다.
아. 전등, 전력 및 약전류용 접지그과 접지선을 피뢰침용의 접지극과 접지선에서 2m이상 이격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자. 통신공사의 접지는 통시기기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전력계통의 접지와 분리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차. 접지 단자는 접지저항 측정이 편리하게 시설하여야 하며, 접지시험 단자함은 누수가 되지 않도록 시설하여야 한다.
타. 재선은 "60220 배선"에 따른다.
3.5 현장 품질관리
3.5.1 시공확이
변전실 접지극 매설준비 완료 후부터 설치시 까지는 감독자의 기공검사를 받아야 한다.
3.5.2 접지정항 측정
접지저항값은 언제 시험하여도 소정의 저항값 이하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전기·통신 기계기구 및 피뢰설비의 접지공사에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중 이 시방서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다음 시방서의 해당 사항에 따른다.
60210 배관
60220 배선
1.3 적용규준
다음 규준은 이 시방서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내에서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한국산업규격(KS)
KS C 2621 동선용 나압착 슬리브
KS C 3302 600V 비닐 절연 전선(IV)
KS C 0804 접지선 및 접지측 전선의 색별 통칙
1.3.2 전기용품기술기준
1.4 제출물
다음 사항은 "10130 제출물"에 따라 제출한다.
1.4.1 자재 제품자료
가. 제작도면
1) 접지 시험 단자함 외형도(측면도, 정면도 포함)
2) 접지단자 및 연결버스바 규격 및 형태
나. 시공상세도면
1) 변전실내 접지 인출입 부분
2) 접지도선 인출위치
1.4.2 견본
가. 접지극(접지동봉) 1조
나. 동선용 나압착 슬리브 및 클램프 각 3개
1.4.3 보고소
가. 접지저항 측정 보고서
1.5 시공전협의
가. 접지선과 접지극 매립시 토목공사의 오·배수관로, 지역난방 및 도시가스 배관 등과 중복되지 않도록 해당 수급이과 사전협의를 하여야 한다.
나. 지하츨 내부에 접지시험 단자함을 설치할 때에는 건축 우수 드레인이나 설비배관 등과 중복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자재
2.1 배관
가. 배관의 종류 및 크기는 설계도면에 다른다.
나. 배관은 "60210 배과"에 따른다.
2.2 접지선
가. 접지선의 종류 및 크기는 설계도면에 따른다.
나. 600V 비닐절ㅇ연전선(IV)은 KS C 3302에 적합한 제품이어야 한다.
다. 전선색상은 녹색을 사용하여야 한다.
라. 접지단자함 2차에서의 접지선은 나동선을 사용한다.
마. 배선은 "60220 배선"에 따른다.
2.3 접지 시험단자함
가. 함 크기 및 설치위치는 설계도면에 따른다.
나. 재질 : 함 및 뚜껑은 강판 두께 1.6mm이상을 사용한다.
다. 도장은 소부도장이나 정전분체도장으로 하여야 한다.
1) 소부도장은 KS M 5311의 2종에 적합한 광명단을 사용하여 내·외부에 1회를 칠하고, KS M 5312의 1급에 적합한 지정색의 조합페인트를 사용하여 2회를 칠한 후 가열건조하여야 한다.
2)정전부체도장은 함체의 내·외면에 인산염 피막처리한 후 도막두께 45㎛이상으로 도장을 하고, 표면온도 180°C이상에서 14분이상 가열건조하여야 한다.
라. 접지단자 및 뚜껑의 볼트는 스테인리스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마. 연결버스는 동대를 가공한 일체형으로 25mm×3mm이상을 사용한다.
바. 베크판은 두께 10mm이상을 사용한다.
사. 접지단자는 20mm×20mm×50mm이상이어야 한다.
2.4 접지극
가. 접지극은 동봉을 사용하고, 접지공사별 규격은 다음을 기본으로 한다.
1) 제1,2종 접지공사 : 지름 16mm, 1800mm×4개 및 지름 14mm 1000mm×1개
2) 제3종 접지공사 : 지름 14mm 1000mm×2개
(단, 옥외 보안등용은 지름 14mm 1000mm×1개)
3.시공
3.1 배관
배관은 "60210 배관"에 따른다.
3.2 접지공사의 종류
접지공사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종 류
저 항 치
제 1 종
10Ω 이하
제 2 종
150V/1선 지락전류(A) 이하
제 3 종
100Ω 이하
3.3 접지대상기기
가. 접지대상기기 및 위치는 설계도명에 따른다.
나. 접지대상기기에 따른 접지공사의 종류는 다음에 따른다.
1)전기
접지대상 기기
사용전압
접지종류
비 고
피뢰기, 피뢰침
전 체
제 1 종
타접지와 공용불가
수배전반
동력반
분전반류
계량기함
풀 박 스
전동기류
기타 장비류
특별고압
제 1 종
외함접지 상호공용가능
저 압
제 3 종
외함접지 상호공용가능
변압기 중성점(2차측)
제 2 종
변압기상호가 연접가능
발전기 중성점
제 3 종
타접지와 공용불가
2) 통신
접 지 대 상 기 기
접 지 종 류
·주배선 바 (MDF)
·국선단자함(100 회선초과)
·국선단자함(100 회선이하)
·MDF 설치지구의 각 동주전화단자함
·보안기용접지
·확성기용 증폭기
제 1 종 접지
"
제 3 종 접지
"
"
"
3.4 접지시공
가. 접지극은 지하 1m이상의 깊이에 매설한다.
나. 2개 이상의 접지극을 같은 장소에 시공할 경우 접지극 상호간의 간격은 2m이상이 되도록 한다.
다. 접지선은 가스관으로부터 1.5m이상 이격시켜야 한다.
라. 접지극은 건축물로부터 2m이상 이격시켜야 한다.
마. 접지선이 외상을 받을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금속관 또는 합성수지관 등에 넣어서 보호하여야 한다. 다만 피뢰치, 피뢰기용 접지선을 간제 금속관에 넣지 않는다.
바. 접지도선의 접속은 전기적으로나 기계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하여야 한다.
사. 설계도면에 따라 접지극을 설치하여도 요구되는 접지저항치를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접지봉을 추가로 설치하거나 위치 및 시공방법을 조정하여 필요한 접지저항치를 얻도록 하여야 한다.
아. 전등, 전력 및 약전류용 접지그과 접지선을 피뢰침용의 접지극과 접지선에서 2m이상 이격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자. 통신공사의 접지는 통시기기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전력계통의 접지와 분리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차. 접지 단자는 접지저항 측정이 편리하게 시설하여야 하며, 접지시험 단자함은 누수가 되지 않도록 시설하여야 한다.
타. 재선은 "60220 배선"에 따른다.
3.5 현장 품질관리
3.5.1 시공확이
변전실 접지극 매설준비 완료 후부터 설치시 까지는 감독자의 기공검사를 받아야 한다.
3.5.2 접지정항 측정
접지저항값은 언제 시험하여도 소정의 저항값 이하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2003.12.19.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 출처
내 소식이 없습니다.
최근 공지사항이 없습니다.
엑스퍼트 추천 상품
대학교/대학원학습 관련 전문가와 1:1 상담을 하고 싶다면?
엑스퍼트 전문가를 모십니다! 지식 공유하고 수익도 창출할 수 있는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