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 하드나 SSD 중에서 SSD가 하드보다 속도가 빠릅니다. 느리다고 하는 하드도 컴퓨터에 케이블로 직접 연결하면 빠릅니다.
2. USB는 컴퓨터에 직접 연결한 저장매체보다 속도가 느립니다. 또 한개를 연결하면 100%의 속도로 사용할 수 있지만 2개를 연결하면 속도는 50%가 됩니다. 3개를 연결하면 33.3%로 속도가 떨어집니다. 한번에 작업을 하면 속도가 떨어지지만 읽고 쓰는 작업이 똑같이 진행되지 않아서 이론적인 속도보다는 빠르게 진행됩니다.
3. 케이블이나 하드/SSD의 영향을 무시할 수는 없지만 질문과 같이 외장에서 외장으로 데이터를 옮긴다면 USB포트에서 속도의 절감을 무시할 수 없습니다.
4. 같는 조건에서 작업을 한다면 외장 SSD가 빠른 작업을 할 수 있지만 USB를 연결한다면 저장매체의 종류보다는 USB2.0, 3.0의 차이나 연결한 USB포트의 저장매체 등에 따라 다를 수있습니다.
5. 저장매체를 오래 사용하고 데이터를 안전하게 사용하려면 관리가 필요합니다. 데이터를 저장하기 전에 배드섹터검사를 하고 주기적으로 데이터분류, 데이터백업,배드섹터검사를 해 주어야 데이터를 잃지 않고 오랫동안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답변을 다는 것은 복구가 필요할 때 GMDATA를 이용하라는 의미는 아닙니다. 광고의 의미가 아주 없지는 않지만 답변을 참조하고 좋은 결과를 얻기 바랍니다. GMDATA는 저장매체 배드섹터검사 전문 프로그램인 GMHDDSCAN을 개발하였고 무료로 배포하고 있으며 HDD복구, 서버복구, 메모리복구, 원격데이터복구전문회사입니다.
2024.09.19.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둘다 서로 영향을 주죠
둘다 SSD면 빠르고
둘중 하나라도 HDD면 느리고
케이블도 영향을 줍니다
채택 감사합니다
궁금한 점은 채택 후 추가질문 주세요
2024.09.19.
일반적으로 외징헝 하드디스크를 USB로 컴퓨터와 연결합니다. 외장형 하드디스크 자체의 속도가 빠르더라도 연결된 USB 방식에 영향을 받습니다. USB 2.0으로 연결된 외장형 하드디스크는 USB 2.0의 최대 속도인 60MB/s 이하의 속도로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USB 3.0으로 연결되는 외장형 하드디스크는 하드디스크 작동 속도보다 USB 3.0의 최대 데이터 전속 속도가 빠르므로 연결 방식 때문에 하드디스크 동작 속도가 느려지지는 않습니다.
내장형 하드디스크는 SATA 포트로 연결되므로 SATA3, SATA2, SATA1으로 연결되어 하드디스크 동작 속도보다 SATA의 전송 속도가 빠릅니다.
2024.09.19.
엑스퍼트 전문가를 모십니다! 지식 공유하고 수익도 창출할 수 있는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