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연말정산시 기부금 소득공제를 받을때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한데요-
법정기부금은 소득의 100%까지,
지정기부금은 소득의 30%까지
종교단체기부금은 소득의 10%까지 공제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압니다.
그리고 신용카드(체크카드)와 현금영수증의 경우 소득의 25%를 초과하는
사용분에 대한 20%(25%)를 소득공제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알구요..
근데 이 우선순위와 공제 내역이 어떻게 되는 것인지요?
일단 기부금의 경우..
지정기부금의 경우 한도가 (소득-법정기부금)*30%로 알고 있는데.
종교기부금은 또 어떻게 계산되는지 궁금합니다.
(소득-법정기부금-지정기부금공제분)*10% 인건가요?
아니면 종교기부금을 먼저 제하고 지정기부금한도를 세는 것인가요? :)
그리고 신용카드, 체크카드와 현금영수증의 경우
각각 따로 계산하여 소득의 25%를 초과하는 20%(25%) 사용분에 대한
소득공제가 되는 것인지 (이럴경우 최대 65%가 되죠?)
아니면 신용카드+체크카드+현금영수증 모두 합쳐서 20%~25%인지 궁금합니다.
(혹은 신용+체크 합쳐서 20%~25%, 현금영수증 따로 20%인지..)
정리하자면,
법정기부금, 지정기부금, 종교기부금, 신용카드 사용액,
체크카드 사용액, 현금영수증 사용액을
모두 가지고 있는 근로자의 경우
연말 소득공제가 어떤 우선순위와
얼마만큼의 한도로 이루어지는지 알고 싶습니다 ^^
초보에게 가르침 부탁드립니다^^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법정기부금은 사용전액 한도없이 급여가 허락하는 범위내에서 전액 공제,
지정기부금은 min[(총급여액 - 법정기부금)*10%, 종교단체 기부금]
+ min[총급여액 - 법정기부금]*20%, 종교단체 외 지정기부금] 에 의해 공제됩니다.
즉, 총급여액이 5천만원, 법적기부금이 천만원, 종교단체 기부금이 천만원, 종교단체외 지정기부금이 5백만원 이라면
법정기부금 천만원 전액공제 되고
Min[(5천만-1천만)*10%, 1천만] + min[(5천만-1천만)*20%, 5백만] 에 의해
4백만 + 5백만 = 9백만의 지정기부금 공제가 이뤄집니다.
즉 순서는 법정기부금이 먼저고 지정기부금은 순서가 무차별하되, 종교단체기부금과 그외 지정기부금의
한도차이가 존재합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신용카드등 사용공제
1. 신용카드 사용분이 총급여액의 25% 보다 많거나 같은 경우
소득공제액 = min[(1), (2)]
(1) 공제대상액 = 1)+2)
1) (전통시장 사용분 + 직불카드사용분) x 30%
2) (신용카드 사용분 - 총급여 x 25%) x 20%
(2) 한도 = min(총급여액 x 20%, 300만원)
2. 신용카드 사용분이 총급여액의 25% 보다 적은 경우
소득공제액 = min[(1), (2)]
(1) 공제대상액 =[전통시장 사용분 + 직불카드사용분 - (총급여 x 25% - 신용카드사용분)x30%
(2) 한도 = min(총급여액 x 20%, 300만원)
3. 한도초과액 추가공제
소득공제액 = min[(1), (2)]
(1) 일반공제의 공제대상액 중 한도를 초과하는 금앨
(2) min(전통시장 사용분 x 30%, 100만원)
복잡하죠. 위의 산식에 의해 이뤄지는데 신용카드+ 현금영수증 사용분은 공제대상 금액의 20% 를 공제받고
체크카드는 30% 를 공제받고 이 둘을 합한액수가 연간 3백만원을 한도로 공제됩니다.
2012.05.26.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