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공지·뉴스
연구·통계·관세
지원·사업
자문·상담
협회소개
마이페이지
기업전용
Utility

KITA.NET

통합검색
추천검색어
메뉴선택
기간
검색 옵션

최근 검색어

전체삭제

최근 검색한 이력이 없습니다.

메뉴검색

검색된 메뉴가 없습니다.

트레이드 포커스

수출입 동향

블록화 시대, 글로벌 사우스 활용전략 : 인도, 인도네시아, 멕시코, 브라질을 중심으로

수출입 동향 작성 2024.04.22 조회 2,108
  • 저자
    양지원 연구원
  • 목차
    Ⅰ. 글로벌 사우스 부상 배경
    Ⅱ. 글로벌 사우스 주요 수입시장(GS4) 내 한국의 위상
    Ⅲ. GS4 국가별 투자유치 동향 및 정책
    Ⅳ. 우리의 전략 및 시사점
저자
양지원 연구원
목차
Ⅰ. 글로벌 사우스 부상 배경
Ⅱ. 글로벌 사우스 주요 수입시장(GS4) 내 한국의 위상
Ⅲ. GS4 국가별 투자유치 동향 및 정책
Ⅳ. 우리의 전략 및 시사점

  ·중 갈등, ·우 전쟁 등의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중간지대인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가 전략적 요충지로 떠오르고 있다. 글로벌 사우스는 북반구 저위도·남반구에 위치한 아시아·중남미·중동·아프리카의 신흥개발도상국을 의미하는데, 현재 글로벌 사우스에 대한 세부 국가분류가 혼재되어 있다. 본 보고서는 글로벌 사우스가 최근 미·EU와 중·러 사이에서 전략적 균형을 추구하며 주목받고 있음을 고려하여, 인도·브라질·멕시코 등 총 76개국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글로벌 사우스는 지정학적 블록화 대응, 글로벌 공급망 재편, 성장잠재력 측면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먼저, 최근 우방국을 중심으로 프랜드쇼어링(friend-shoring)’ 즉 지정학적 블록화가 진행되면서 교역의 분절화가 나타나고 있다. IMF에 따르면, OECD 회원국과 중국이 비관세 무역장벽을 강화하여 프렌드쇼어링을 할 경우 우리나라 GDP가 약 4% 감소한다고 전망하고 있다. 한국이 실리외교를 추구하며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입지를 다져가는 글로벌 사우스를 주시해야 하는 이유이다.

 

  둘째,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향후 우리 수출시장, 생산기지, 수입처로서 글로벌 사우스의 역할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의 상위 10대 수출시장 비중은 최근 10평균 69.1%,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편중도가 소폭 상승하였다. 또한, 인도, 인도네시아, 브라질 등 글로벌 사우스 중견국가의 월 최저임금은 2022년 중국을 하회하는 등 생산비용이 낮아 최근 글로벌 기업의 투자가 늘고 있다. 수입 측면에서는 중국이 핵심광물 대부분을 수입 후 가공하면서 중국의 자원무기화 가능성이 상존한다. 따라서 글로벌 사우스와의 협력은 수출시다변화, 생산기지 최적화, 수입처 다각화 측면에서 필수적이다.

 

  셋째, 글로벌 사우스는 높은 경제성장률, 젊은 인구, 정부의 인프라 투자 등에 힘입어 성장잠재력이 풍부하다. 인도, 브라질, 멕시코,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등 14개국이 2023년 명목 GDP 기준 상위 50위권에 속한다. 또한, 저출산, 고령화로 주요국이 축소사회에 접어든 반면, 글로벌 사우스는 생산가능인구 비중이 꾸준히 상승하며 향후 인구 배당 효과도 기대된다.

 

  라서 본 보고서는 유망 수출시장과 투자진출국으로서 글로벌 사우스에 대한 향후 우리의 전략을 도출하기 위해 특히 인도, 인도네시아, 멕시코, 브라질(GS4, Global South 4)’에 대해 우리나라의 수출경쟁력과 투자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때, GS4글로벌 사우스 76개국 중 G20 회원국이면서 2023년 명목 GDP 상위 4개국이다.

 

  GS4 국가의 FDI 및 수입시장을 분석한 결과, 인도는 반도체, 스타트업 투자’, 인도네시아는 무선통신기기, 인프라 투자’, 멕시코는 기계류, 자동차 및 부품’, 브라질은 농산업, ICT’에서 우리의 수출·투자 기회가 풍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환율변동, 인플레이션, 규제 등의 리스크가 적지 않아, 기 진출 기업의 애로를 참고하여 개별 국가별 맞춤 진출전략을 마련하고 네트워킹을 강화해야 한다.

    

 

  이와 같은 수출·투자시장 다변화 노력과 함께, 중장기적 관점으로는 글로벌 사우스와의 포괄적 경제협력 채널을 구축하여 지정학적 불확실성에 대한 대응력을 높여야 한다. 특히 최근 중국은 글로벌 사우스와의 다자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일대일로 프로젝트('13), 글로벌 발전 이니셔티브('21), 지난해 BRICS+로의 외연 확대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지정학적 리스크는 나날이 확대되고 있으며 글로벌 공급망 재편은 일시적 현상이 아닌 구조적으로 장기화될 축의 전환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글로벌 사우스와의 교역과 투자를 확대하는 동시에, 다자 협력을 주도하며 경제협력 채널을 다각화하는 전략이 요구된다. 

만족도 조사

만족도 조사 참여 시 추첨을 통해 기프티콘을 드립니다.
  1. 1. 본 보고서에 대한 귀하의 만족도는 어느 정도입니까?

    0
  2. 2. 향후 국제무역통상연구원 보고서를 계속 이용·추천할 의향이 있습니까?

    0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