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취업을 미리 해둔 상태라 일단 부모님께
이야기보단 저는 키우는 걸 목적으로 여자친구 생각을 존중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둘 다 일단 생각은 많지만 책임은 저 희니 책임지기로 했습니
경우의 수를 다 하고 최대로 임신해서 출산까지 얼마나 드는지 임신 중에 다른 병 같은 게 있으면 아기 할 텐 문제가 없는지
따로 알아야 할 것은 없는지 좀 도와주세요.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임신 축하드립니다^^
그리고 나이는 어리시지만 아기를 책임지겠다는 마음도 대단하네요~
요즘 복지가 좋아져서 나라에서 임신하면 주는 돈만으로도 병원비는 다 해결이 됩니다.
임신하면 나라에서 100만원을 주고, 미성년자는 추가로 120만원을 더 주는데...초음파 상으로 아기에게 특별한 이상이 발견되어 양수 검사나 니프티 검사 같은 60만원 정도하는 추가 정밀 검사를 따로 받아야하는 경우가 아니면 저 돈으로 출산 때까지는 모든 진료비와 검사비와 출산비로 충분합니다.
출산비용도 보험 적용되면 제왕절개를 하더라도 병실을 다인실을 쓰면 입원비가 무료이므로 40만원 정도면 수술비와 6박7일 입원비까지 해결이 됩니다. 자연분만 비용은 더 저렴하구요~
산후조리를 위해 산후조리원에 가는 비용이 일주일에 120만원에서 200만원 정도로 제일 비싼데, 산후조리원에 안 가는 사람들도 많고 꼭 가야하는 건 아니니 집에서 그냥 조리하시면 됩니다.
산후조리원에 정 가고 싶으시면 시나 군에서 운영하는 공공 산후조리원이 더 저렴하니 사시는 지역에 있는지 알아보시고, 산후 도우미를 신청하여 소득에 따라 저렴한 비용으로 도우미 분이 집에 직접 오셔서 산후조리와 집안일 등을 도와주는 제도도 있으니 보건소에 알아보세요~
그리고 산모가 원래 가지고 있는 병이 뭔지는 몰라서 정확한 답이 어려우니 산부인과에 가셔서 진료 받으면서 의사에게 임신과 상관 없는지 물어보는 게 가장 안전하고 정확합니다.
아래에 임신하시면 받을 수 있는 혜택들을 정리하니 참고하세요~
1. 임신하고 다니시는 산부인과가 있으면 가서 임신확인서를 발급해달라고 하면 무료로 발급해줍니다.
그것으로 바로 국민행복 카드를 발급 신청하면 1태아 당 카드 포인트로 100만원이 들어옵니다.
이 포인트로 모든 병원과 약국에서 현금처럼 결제가 가능합니다.
만약 미성년자이시면 청소년 임신 바우처가 1태아 당 120만원 더 있어서 총220만원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 카드는 연회비가 없고, 한번 발급 받은 뒤에는 임신할 때마다 다시 지원금을 받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학원비나 아기 용품 가게 등에서 할인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해지하지 말고 가지고 있는 게 좋습니다.
온라인으로도 발급 받을 수 있고, 사시는 곳 근처 보건소에서도 발급 받을 수 있는데...베베폼이나 베팡 등의 사이트에서 발급 신청하면 아기 용품 2가지를 골라 사은품으로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단, 발급 받은 국민행복 카드를 받자마자 2주~한달 이내에 10만원 정도 써야 사은품을 받을 수 있는데, 쿠팡 등에서 필요한 아기용품 등을 미리 결제해서 사놓으시면 됩니다. 사은품을 받기 위해 써야 하는 금액과 기간은 카드사마다 다 다르기 때문에 카드 신청하실 때, 세부조건을 자세히 읽어보시고 어느 카드를 발급 받을지 결정하세요.)
2. 앞에서 발급 받은 임신확인서를 가지고 집 근처 보건소에 가면 아기용품이나 엽산과 철분제 같은 영양제와 정밀 초음파 할인권 등을 무료로 줍니다. 지원하는 것들은 지자체마다 다릅니다.
임산부 순산 요가 등 여러 임산부 교실도 무료로 참가할 수 있으니 보건소에 가서 임산부가 받을 수 있는 혜택을 다 물어보세요.
3. 출산하시고 아기 출생신고를 온라인으로 말고, 집 근처 주민센터에 가서 직접 신고하시면 사회복지 담당 공무원이 알아서 받을 수 있는 혜택을 한번에 다 신청해주십니다.
그래도 혜택을 정리하면, 1번에서 말씀드린 국민행복 카드로 첫만남 이용권 200만원이 카드 포인트로 들어와서 병원, 약국, 마트 등에서 사용 가능하고 쿠팡에도 카드를 등록하면 결제 가능합니다.
그리고 지자체마다 출산 축하금 50만원 이상이 있는데, 아예 없거나 둘째 아이부터 있는 지역도 있습니다. 출산 축하금 대신에 아기용품 꾸러미를 선물로 주는 지역도 있고, 출산 축하금과 선물을 둘 다 주는 지역도 있습니다.
또 영아수당이 만1세 이하까지 매달 70만원, 아동수당이 매달10만원 현금으로 계좌로 입금됩니다.
2024년부터는 영아수당이 매달 100만원이 나온다는 말이 있습니다.
4. 아기를 출생신고하고 한전 고객센터에 전화해 신청하면 3년까지 매달 전기세의 30%를 할인해줍니다.
5. 집 근처 보건소에 신청하시면 출산 40일 전부터 출산 후 30일까지 집으로 간호사가 오셔서 무료로 임산부와 아기의 건강을 관리해주는 서비스도 있습니다.
6. 기저귀 바우처가 있어서 만2세 미만 영아에 대해 최대 24개월 간 소득에 따라 기저귀와 분유 값으로 최소8만원 이상 지원합니다.
사시는 곳 근처 주민센터에 신청합니다.
7. 에너지 바우처도 있어 난방비를 지원해주니 사시는 곳 근처 주민센터에 물어보세요.
8.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사업이 있어서 선착순 당첨되면 친환경 농산물들을 매달 12000원 내고 받을 수 있는데, 나머지 초과 금액은 정부에서 지원합니다.
https://www.ecoemall.com/main/index.
9. 산후조리원에 안 가시면 산후 도우미 서비스란 게 있어서 소득에 따라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 가능하니 보건소에 문의해보세요.
10. 아기를 두고 일을 하거나 잠깐 외출을 할 때 아기를 봐줄 사람이 없을 때 이용 가능한 아기 돌봄 서비스도 있습니다.
시간당 소득에 따라 1천원 대의 비용으로 저렴하게 이용 가능하니 근처 주민센터에 문의하세요.
11.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으시면 임신 중에 자동차 보험 고객센터에 전화해서 임신확인서를 제출하면 자동차 보험료를 할인해줍니다.
2023.12.18.
안녕하세요.
한국미혼모가족협회입니다.
카카오톡에서 한국미혼모가족협회를 친구 추가 하시고
카톡으로 편하게 질문 해주세요.
당사자 상담 활동가가 성심성의껏 질문에 답변드립니다.
사단법인 한국미혼모가족협회
전화. 02-2682-3376
이메일. missmommamia@naver.com
홈페이지. www.kumfa.kr
카카오톡. http://pf.kakao.com/_xgcxeKC
2023.04.25.

지역별 출산지원금과 신청 방법안내에요.
지원금이 지역마다 달라요.
많이 주는 곳은 3자녀 이상이면 천만원넘는 곳도 있어요
정리한 글인데 참고하시고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
2023.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