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현재 법령상 산업안전보건관리비는 건설업 및 조선업에 대해서만 적용 됩니다.
산업안전보건관리법
제72조(건설공사 등의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등) ① 건설공사발주자가 도급계약을 체결하거나 건설공사의 시공을 주도하여 총괄ㆍ관리하는 자(건설공사발주자로부터 건설공사를 최초로 도급받은 수급인은 제외한다)가 건설공사 사업 계획을 수립할 때에는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바에 따라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사용하는 비용(이하 “산업안전보건관리비”라 한다)을 도급금액 또는 사업비에 계상(計上)하여야 한다. <개정 2020. 6. 9.>
② 고용노동부장관은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정할 수 있다.
1. 사업의 규모별ㆍ종류별 계상 기준
2. 건설공사의 진척 정도에 따른 사용비율 등 기준
3. 그 밖에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사용에 필요한 사항
③ 건설공사도급인은 산업안전보건관리비를 제2항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사용하고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그 사용명세서를 작성하여 보존하여야 한다. <개정 2020. 6. 9.>
④ 선박의 건조 또는 수리를 최초로 도급받은 수급인은 사업 계획을 수립할 때에는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바에 따라 산업안전보건관리비를 사업비에 계상하여야 한다.
⑤ 건설공사도급인 또는 제4항에 따른 선박의 건조 또는 수리를 최초로 도급받은 수급인은 산업안전보건관리비를 산업재해 예방 외의 목적으로 사용해서는 아니 된다. <개정 2020. 6. 9.>
계상기준이나 사용기준에 대해서는 고용노동부고시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에관한 기준"으로 검색해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법제처 홈페이지에서 행정규칙으로 검색하셔서 확인해보셔도 되고.. 포털에서 검색해도 자료 많이 나와요.
2024.01.08.

안녕하세요. 저도 사회초년생이었을때 모르는게 많았는데 조금이라도 도움드리고싶어서 산업재해율 확인서 발급 할수있는 사이트 남겨두겠습니다..
2024.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