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오메가3 지방산과 오메가6 지방산의 종류 및 명명법
rich**** 조회수 25,568 작성일2005.05.05

오메가3 지방산과 오메가6 지방산의 종류와 명명법이 궁금합니다.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quak****
초수
인체건강상식 분야에서 활동
먼저 종류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오메가 3 지방산에는

탄소수가 18개인 알파 Linolenic acid 20개인 Timnodonic acid, 22개인 Cervonic acid 등이 있습니다.

오메가 6지방산에는

탄소수가 18개인 Linoleic acid, 역시 18개인 감마 linolenic acid 20개인 Arachidonic acid 등이 있습니다.


이들이 오메가 3 또는 오메가 6라고 이름 붙여진 이유는..

오메가탄소(탄소사슬의 가장 끝에있는 탄소입니다.) 부터 거꾸로 번호를 붙일때 세번째와 네번째 탄소 사이에 처음으로 이중결합이 있으면 오메가 3지방산.

오메가 탄소에서 6번째 와 7번째에 처음으로 이중결합이 나타나면 오메가 6지방산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다음의 이중결합은 탄소 3개를 건너 뛰면서 나타나게 됩니다.

예를 들어 Arachidonic acid는 w6 carbon 이 앞에서 부터 번호를 세면 14번 탄소 가 되고(=20 - 6) 여기서 부터 앞으로 세개씩 이중결합이 있는 것입니다

즉, 이중결합이 있는 위치는 C14, C11, C8 C5 입니다.


이들의 Systematic name의 명명법은..

이중결합이 있는 탄소 번호를 붙여 주고, 탄소수의 개수, 이중결합의 개수, 불포화 지방산이라는 의미로 접미어에 -enoic 을 붙여 주면 됩니다.


예를 들어 탄소 20개이며, 5,8,11,14 번 자리에 총 네개의 이중결합이 있는 Arachidonic acid의 systematic name은

all-cis-5,8,11,14-Eicosatetraenoic acid 가 되는것입니다.
(Eicosa- 의 의미가 20개라는 뜻이고, tetra- 는 네개라는 뜻입니다.)


한가지만 더 예를 들자면..

오메가3 인 탄소 22개 짜리 지방산이며 4,7,10,13,16,19번 자리에 이중결합이 총 6개 있는 DHA의 원래 이름은(DHA는 약어 입니다),

all-cis-4,7,10,13,16,19-Docosahexaenoic acid 입니다.
(Docosa- 가 22개 Hexa-가 6개 입니다.)

2005.05.06.

  • 채택

    질문자⋅지식인이 채택한 답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