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질문자님 안녕하세요 :)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중복 가입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으며, 각 프로그램에 따라 다릅니다.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청년희망적금은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중복 가입이 불가하고, 은행에서 가입 가능한 청년희망적금은 중복 가입이 가능합니다. 각 프로그램의 중복 가능 여부는 시행처에서 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정보는 아래쪽을 참고해주세요.
2025.03.06.
“본 내용은 현재 시점에서의 답변이며, 매년 사업 지침 개정 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문의하신 부분은,
청년희망적금의 경우 두 가지 종류가 있으며,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청년희망적금은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중복 가입이 불가하고 각, 은행별로 가입 가능했던 청년희망적금은 중복 가입 가능합니다. 관련(중복) 상품에 대한 자세한 상담 및 중복 가능 여부에 대해선 각 시행처로 꼭 재확인해 주시길 바랍니다.
아래 중복 표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2024년 신규모집은 5월1일~5월2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올해는 신청마감된 상태입니다.
현기준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매년 진행되며, 매년 진행되는 시기와 내용은 변경 가능성이 있기에 내년(25년)에 다시 확인하시거나, 자산형성포털 사이트의 내년(25년) 공지사항 확인 후 25년도 가입조건에 충족한다면 해당 신청기간 내에 신청하시면 됩니다.
24년 기준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 조건은
첫 번째 가입 조건이 신청일 기준 현재 근로활동을 하고 계셔야 되고
두 번째 조건이 신청일 기준 전월 발생된 급여가 있어야 됩니다.
차상위 이하자로 선정시 전월 발생된 급여가 10만원 이상 발생이 되어야 가능하고
차상위 초과자로 선정시 전월 발생된 소득이 세전 기준 월 50만원~230만원 이하에 해당되셔야 합니다.
>"아르바이트, 직업군인, 공무원, 일용 근로라도 상관은 없지만 전월 발생된 소득이 국세청에 소득이 신고된 급여" 인지가 중요하며, 현역병이 받는 급여는 비과세 소득으로 근로소득에서 제외되기에 신청 불가하나, 제대 후 근로를 통한 근로소득이 발생이 되는 여건일 경우 가입 조건에 맞는다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신청 후 심사를 거쳐 차상위이하/차상위초과로 선정되며, 심사 시점까지도 꾸준한 근로활동 및 지원대상 기준 충족해 주셔야 하나, 심사 관련 사항이나 변동 사항에 대해선 관할 지자체로 문의 해보셔야 합니다.
* 차상위 이하자로 선정시 매월 30만원씩 3년 동안 지원 (월 본인적금 10만원~50만원 내 적금시)
* 차상위 초과자로 선정시 매월 10만원씩 3년 동안 지원 (월 본인적금 10만원~50만원 내 적금시)
이외 24년 지원 대상 기준은 아래 표를 참고 바랍니다.
가구소득, 연령, 소득기준 3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이외 다른 상담이 필요하시면,
자산형성지원콜센터(1522-3690)로 문의 바랍니다.
<자산형성지원콜센터 1522-3690>
2024.11.18.

좋은 질문이에요!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은 비슷해 보이지만 지원 목적, 대상, 조건이 다릅니다.
중복 가능 여부와 공무원 여부, 중위소득 100% 조건에 대해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 1. 두 제도 개요 비교
항목 | 청년내일저축계좌 | 청년희망적금 |
목적 | 근로빈곤 청년 자산형성 지원 | 청년의 목돈 마련 유도 (저축 장려) |
지원 내용 | 정부가 매달 10~30만 원 추가 적립 (3년간 최대 1,440만 원) | 이자에 대해 2가지 혜택 (저축 장려금 + 이자소득 비과세) |
가입 조건 | 근로 중 & 중위소득 100% 이하 | 근로 중 & 연소득 3,600만 원 이하 |
✅ 2. 공무원도 가입 가능할까?
제도 | 공무원 가입 가능 여부 |
청년내일저축계좌 | ❌ 불가능 (공무원 및 군인 제외) |
청년희망적금 | ⭕ 가능 (단, 연소득 조건 충족 시) |
✅ 3. 중위소득 100% 이하 조건이 똑같나요?
청년내일저축계좌:
→ 가구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여야 합니다.
→ 즉, 가족 전체 소득을 기준으로 따져요.
→ 예: 1인 가구 약 2,120,000원 이하 (2024년 기준)
청년희망적금:
→ 개인 소득 기준입니다.
→ 연소득 3,600만 원 이하만 충족하면 됩니다.
즉, 소득 기준 방식이 다릅니다.
✅ 4. 중복 가입 가능한가요?
정부는 동일 목적의 지원을 중복해서 하지 않기 때문에,
청년내일저축계좌 vs 청년희망적금 중 1가지만 가입 가능합니다.
최근에는 두 제도 모두 소득요건과 지원 목적이 달라졌지만, 서로 중복은 불가합니다.
요약 정리
항목 | 청년내일저축계좌 | 청년희망적금 |
공무원 가입 | ❌ 불가 | ✅ 가능 |
소득 기준 |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 기준) | 연소득 3,600만 원 이하 (개인 기준) |
중복 가입 | ❌ 불가 |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시면 아래로 오세요
2025.03.25.
답변 >
1. 공무원, 아르바이트, 군인도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이 가능한가요?
청년내일저축계좌는 현재 근로활동 중이며, 근로·사업소득이 일정 범위 내에 있는 청년을 대상으로 합니다. 따라서 공무원, 아르바이트 근로자, 군인도 아래의 조건을 충족하면 신청 가능합니다:
연령 조건: 신청 당시 만 19세부터 만 34세까지. 다만,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인 경우 만 15세부터 만 39세까지 신청 가능.
소득 조건:
일반 청년: 근로·사업소득이 월 50만 원 초과 ~ 250만 원 이하.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인 청년: 근로·사업소득이 월 10만 원 이상.
가구소득 조건: 가구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따라서 공무원, 아르바이트 근로자, 군인도 위 조건을 충족하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2.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을 동시에 가입할 수 있나요?
네,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은 중복 가입이 가능합니다. 두 상품은 지원 목적과 방식이 다르므로 동시에 가입하여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청년내일저축계좌의 소득 및 재산 조건은 무엇인가요?
청년내일저축계좌의 소득 및 재산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소득 조건:
일반 청년: 근로·사업소득이 월 50만 원 초과 ~ 250만 원 이하.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인 청년: 근로·사업소득이 월 10만 원 이상.
가구소득 조건: 가구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재산 조건: 대도시 3.5억 원, 중소도시 2억 원, 농어촌 1.7억 원 이하.
아르바이트 근로자와 군인도 위 조건을 충족하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4.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후 퇴사하면 어떻게 되나요?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 후 퇴사하여 소득이 중단되면 정부지원금(근로소득장려금) 적립이 중지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계좌 자체는 유지되며, 일정 기간 내에 재취업하여 소득 조건을 다시 충족하면 정부지원금 적립이 재개될 수 있습니다. 또한, 실직 등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 가입 기간 중 총 6개월간 '적립중지'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퇴사 후에는 가능한 한 빨리 재취업하여 소득 조건을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저도 직장다니다가 고민이 되서 찾아봤는데,
링크도 공유드릴게요.
2025.04.03.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공무원 청년희망적금 중복 조건 중위소득 100 똑같나요? 안녕하세요.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하려고 하는데 공무원, 알바, 군인 신청 되나요? 그리고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희망적금 중복 될까요? 청년내일저축계좌 조건이 소득 재산 알바, 군인 똑같은지 궁금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후 퇴사하면 어떻게 되죠?
청년내일저축계좌는 근로소득이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무직자는 지원대상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무직자 외 일용직, 알바, 대학생도 기준 범위 내 근로소득이 있다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현역 군인, 공익 : 신청불가
직업 군인, 산업체 대체 복무요원 : 신청가능
일반 공무원 : 가입불가
시간제 계약직 공무원 : 신청가능
한시 계약직 공무원 : 신청가능
기타 궁금하신 내용은 오늘 [업데이트]된 하단 공고문 참고해보시길 바랍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중위소득 100%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1인 가구 : 207만 7892원
2인 가구 : 345만 6155원
3인 가구 : 443만 4816원
4인 가구 : 540만 964원
5인 가구 : 633만 688원
6인 가구 : 722만 7981원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해도 청년내일저축계좌 중복 가입이 가능합니다. 또한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청년 개인별로 가입기준 충족시, 타 가구원 가입여부와 관계없이 바로 가입 가능합니다. 단,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청년내일채움공제 사업과는 중복 참여가 불가능합니다.
2023.05.01.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