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주 5.5일 7시간 최저시급으로근무 했습니다
자진퇴사 후
계약직 1달 주5일 5.5시간 최저시급 근무 했다면 실업급여 얼마나 받을까요??
찾아본결과 실업급여시간은 올림으로 계산한다고하는데 그럼
주5.5일 7시간은 주 38.5시간일한거고 올림하면
40시간이라 8시간일한걸로 취급되는거고
5.5시간은 주 27.5시간일한거고 올림하면 30시간이라 6시간 일한걸로 취급되는거겠죠??
그럼 8시간 두달 6시간 한달이니 평균 7.3시간 실업급여가 나오는건가요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질문자님 계산 맞습니다.
평균 7.3시간(1일) 기준으로 실업급여 금액이 산정될것으로 예상됩니다.
이후 임금 × 60% 적용 및 하한액 여부를 체크하시면 될꺼같습니다.
질문자님의 1일 평균임금 × 60%가 하한액 미만일 경우 2025년 하한액인 64,192원으로 자동 보정됩니다.
더 자세한 실업급여 신청방법이랑 실업급여를 미리 계산해볼 수 있는
사이트 하나 알려드릴테니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2025.03.17.

실업급여 정보 하단 홈페이지에 잘 나와있으니 확인해보시면 많은 도움이 될겁니다.
실업급여 예상 금액을 계산해보겠습니다.
먼저, 근무 시간을 살펴보면, 이전 직장에서 주 38.5시간 근무하셨으므로 이를 올림하여 40시간으로, 계약직에서는 주 27.5시간으로 올림하여 30시간으로 계산합니다. 평균 근무 시간은 (8시간 × 2개월 + 6시간 × 1개월) ÷ 3개월로 계산하면 약 7.33시간/일이 됩니다. 이를 올림하여 8시간으로 계산합니다.
이제 실업급여 금액을 계산해보면, 2025년 기준 최저 시급이 10,030원이므로 일일 평균 임금은 10,030원 × 8시간으로 80,240원이 됩니다. 실업급여 일액은 이 평균 임금의 60%로 계산하면 80,240원 × 0.6으로 48,144원이 됩니다.
하지만 8시간 근무 기준 하한액인 63,104원이 적용되므로, 계산된 금액(48,144원)이 하한액보다 낮아 실제 지급될 금액은 하한액인 63,104원이 됩니다.
지급 기간은 약 2년 근무하셨으므로, 실업급여 지급 기간은 180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예상 실업급여는 일일 금액인 63,104원 × 180일로 총 11,358,720원이 됩니다. 월 평균 지급 금액은 약 1,893,120원이 됩니다.
주의할 점은 실제 금액은 정확한 근무 기록과 임금 내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최종적인 금액은 고용센터에서 확인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5.02.27.

안녕하세요. 로시컴-네이버 지식iN 상담 공인노무사 민승기 입니다.
실업급여 소정근로시간은 마지막 근로한 사업장 한달이 기준이 됩니다. 따라서 질의자분의 소정근로시간은 5.5시간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추가적인 문의나 조력이 필요하다면 아래 유료상담을 이용해주세요
※ 15년 경력의 노무사가 경험의 깊이가 다른 상담을 약속드립니다.
※ 민승기노동법률 사무소 상담 안내 | ||
✅ 전화상담 연결하기 (010 -3799 -7103) | ||
■ 네이버 엑스퍼트 상담은 아래 사진클릭 ,명쾌한 해결 약속드립니다.
2024.08.27.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