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경기도는 지하철 무임승차 기능이없고 티머니 교통카드도 선불카드로 발급되어 통장에 잔액이 있는데 버스를 승차하니 잔액이 부족하다고 나오는데 따로충전을 해야 한다면 경기도는 2030 신한 복지체크 카드는 별로 쓸모가 없을것 같은데 경기도는 전철 무임과 버스 선불카드가 아닌 후불 체크카드 발급 못받나요? 선불 충전하려니 불편하네요
성실한 댓글 부탁합니다.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장애인 복지카드는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두가지로 발급 됩니다.
장애인이지만 신용상에 문제가 있어 신용카드 발급 자격이 불가능하신분들을 위하여 체크카드도 발급합니다.
물론 일반 장애인분들도 신용카드 대신 체크카드를 발급받는 분도 게십니다.
2023.06.09.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2030 통합장애인 복지카드를 발급하시느라 수고하셨습니다. 경기도 지하철에서는 무임승차 기능이 없기 때문에, 지하철에서 사용하실 경우에는 별도의 교통카드가 필요합니다. 티머니 교통카드는 선불카드로 발급되기 때문에, 승차 시에는 카드에 충전된 잔액이 적어도 1,250원 이상 있어야 하며, 버스에서는 최대 5회까지 무료로 이용 가능합니다.
경기도에서는 전철 무임과 버스 선불카드가 아닌 후불 체크카드 발급이 가능합니다. 단, 신한 2030 장애인 복지체크 카드를 사용하시는 경우에는 해당 카드의 이용 조건에 따라 결제 방법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만약 선불 충전이 불편하시다면, 후불 체크카드 발급을 고려해 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하철을 이용하시려면 별도의 교통카드, 버스를 이용하시려면 티머니 카드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또한, 후불 체크카드 발급도 가능하니 필요하신 경우에는 해당 카드를 신청해 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2023.06.09.
경기도에서 발급된 장애인 복지카드(신용+체크)는 무임교통이 없는 카드로 발급됩니다. 1인당 1장의 복지카드만 발급이 가능하며, 재발급 시 최종적으로 받은 카드에만 교통기능이 부여됩니다¹. 경기도에서는 전철 무임과 버스 선불카드가 아닌 후불 체크카드 발급이 가능합니다².
따라서 경기도에서 2030 신한 복지체크 카드를 사용하시면 버스를 탈 때 선불 충전을 하셔야 합니다.
2023.06.10.

신한 2023 장애인복지카드 문의시군요.
교통 관련해서 후불 체크카드로 발급 가능합니다.
신용카드나 체크카드에 대한 차별은 없습니다.
2023.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