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어떻게 그런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건가요?
피검사의 원리가 궁금해요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대한의사협회·네이버 지식iN 상담의사 김철수 입니다.
피검사를 전문적으로 하는 진단검사의학의 검사실이 병원 내에 정착한 것은 19세기 존스홉킨스 병원과 영국의 거이즈 병원l을 시작으로 불과 200년 남짓됩니다. 진단검사의학이 의학의 한 분야로 자리잡기 이전 에 의학에서 환자의 진단 및 치료에서 검사가 사용되었던 역사가 있습니다. 현미경은 진단검사의학의 발전에도 한 획을 긋는 발명물이며1590년에 Hans Lippershey (1570-1619) 또는 Zacharias Jansen (1585-1632)에 의해 발명되었다는 주장과 Galileo Galilei (1564-1642)가 1609년에 발명했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17세기 후 반에 이르러 오늘날과 비슷한 현미경의 형태를 갖춘 현미경으로 발전하였고 아직도 계속 진보 중입니다. 17세기에 이르러 임상화학검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어 John Locke (1632-1702)는 혈액에 대해 화학검사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이에 Robert Boyle (1627-1691)은 혈액을 이용한 화학 연구를 하여 혈액 내의 나트륨을 최초로 증명하였고, 이 외에도 많 은 연구들을 하였지만 의사가 아니었기 때문에 환자의 혈액을 이용 할 수 없어서 건강인의 혈액 검사를 시행하였습니다. 18세기에 Boyle 의 연구결과들을 환자에게서 증명한 의사는 Browne Langrish (?- 1759)로, “New practice of physics”라는 책에서 환자 혈액을 이용 한 화학검사에 대해 기술하였습니다. Mathew Dobson (1735-1784)은 당뇨환자의 혈액에서 당을 검출하였고 Claude Bernard (1813-1878)는 이를 더 발전시켜 혈액 내 당과 연관된 물질들에 관하여 연구하였습니다. 1854년 Jules Dubosq (1817-1886)는 색도계 (colorimeter)를 발명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1885년과 1889년에 Liebermann과 Burchard가 콜레스테롤을 측정할 수 있게 되었고, 1886년에 Max Jaffe (1841-1911)가 크레아티닌을 측정할 수 있었습니다. 19세기 후반에 spectrophotometer가 발명되어 Felix HoppeSeyler (1824-1895)가 oxyhemoglobin과 methemoglobin을 발견하였습니다. 1900년경 Almoth Wright (1861-1947)가 1845년 발명된 피하주사침을 장티푸스 환자의 혈액 배양을 위해 사용하면서 정맥 채혈이 임상에 적용되었습니다. 정맥 채혈이 활성화되고 많은 종류의 화학검사가 가능하게 되면서, 임상의들은 환자를 진단하 기 위해 검사를 하고자 하였고, 한 번에 많은 검사를 빠른 시간 안 에 시행하기를 원하였습니다. 그러나 이 시대의 화학검사는 요산 하나를 측정하기 위해 검체가 20-25 mL이 필요했으며 정량이 아닌 정성검사였습니다. 1941년 개발된 Beckman사의 분광광도계는 화학 분석과정을 실제 임상에서 적용 가능하도록 간단하고 신속하게 바꾸어 놓았습니다. 이후 여러 형태로 개선된 분광광도계는 자동화 기기에 접목되어 오늘날 검체 검사 분석의 근간을 이루고 있습니다.
2023.11.22.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