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공지·뉴스
연구·통계·관세
지원·사업
자문·상담
협회소개
마이페이지
기업전용
Utility

KITA.NET

통합검색
추천검색어
메뉴선택
기간
검색 옵션

최근 검색어

전체삭제

최근 검색한 이력이 없습니다.

메뉴검색

검색된 메뉴가 없습니다.

트레이드 브리프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조치에 따른 영향 분석

작성 2025.02.10 조회 9,792
  • 저자
    양지원, 허슬비, 도원빈, 김나율
  • 목차
    I. 배경
    II. 관세조치 관련 미국 수입 동향
    III. 트럼프 2기 관세조치 시나리오 및 파급경로
    IV. 트럼프 2기 관세 시나리오별 영향 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저자
양지원, 허슬비, 도원빈, 김나율
목차
I. 배경
II. 관세조치 관련 미국 수입 동향
III. 트럼프 2기 관세조치 시나리오 및 파급경로
IV. 트럼프 2기 관세 시나리오별 영향 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중국, 캐나다, 멕시코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전 세계·전 품목에 대한 보편관세 가능성을 예고한 가운데, 특정국 타겟 관세보다는 향후 보편관세 도입 여부가 수출 감소의 변곡점인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분석 시점인 2월 5일 기준 행정명령으로 예고된 3개국 대상 관세 부과 및 보편관세 가능성을 고려하여 총 3단계의 분석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중국의 관세 인상만을 고려 시(시나리오1) 총수출은 4.1억 달러 감소(-0.1%)로 영향이 미미할 전망이다. 캐나다·멕시코에 관세를 부과(시나리오2)하더라도, 총수출 2.2억 달러 감소(-0.03%)로 역시 타격이 적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특정국 관세조치에 이어 보편관세까지 단행할 경우(시나리오3)에는 대미 수출은 7.9% 감소, 대중국(1.0%)·캐나다(3.2%)·멕시코(11.5%) 수출도 감소하며 총수출은 132.4억 달러 감소(-1.9%)할 것으로 예상된다. 보편관세 부과 시나리오에서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 감소율은 주요 30개국 중 4번째로 영향이 적었으며, 독일·베트남보다 타격이 적은 점은 긍정적이다. 보편관세가 현실화되기 전 대미 아웃리치 활동을 확대하는 등 민관 합동의 외교적 노력 강화가 절실하다.   ※ [수정 게시 / 2/10(월) 15시 기준] (p.2) 한국의 철강 대미 수출 비중 : 21% → 14%

만족도 조사

만족도 조사 참여 시 추첨을 통해 기프티콘을 드립니다.
  1. 1. 본 보고서에 대한 귀하의 만족도는 어느 정도입니까?

    0
  2. 2. 향후 국제무역통상연구원 보고서를 계속 이용·추천할 의향이 있습니까?

    0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