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누구나 함께하는 대회.공모전.대외활동 포털 콘테스트코리아입니다!!!
현재 접수 진행중인 영화,영상 시나리오 공모전 목록과 단편소설 공모전 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시나리오 공모전
UCC • 동영상 2022 [필름X젠더] 단편영화 제작지원 공모 0
주최 . 서울국제여성영화제
대상 . 제한없음
22.02.08~22.02.18
심사예정
D-1
마감임박
UCC • 동영상 2022 서울구로국제어린이영화제 <제작지원사업> 공모 0
주최 . 서울구로국제어린이영화제
대상 . 제한없음
22.01.01~22.03.31
심사기간
D-8
접수중
UCC • 동영상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 2022 YPFF 청년평화영화제 0
주최 . 통일부, 청년문간
대상 . 기타
22.02.28~22.04.26
심사예정
D-20
접수중
UCC • 동영상 국어 • 문예 짤드라마 공모전 2탄 0
주최 . 블라블라
대상 . 제한없음
22.01.01~22.02.28
심사기간
D-22
접수중
영화,영상 시나리오 공모전은
향후에 개최되는 정보는 아래 카테고리에서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대회.공모전] - [UCC.사진.동영상] - [동영상] 카테고리
https://www.contestkorea.com/sub/list.php?int_gbn=1&Txt_bcode=030820002
>>단편 소설공모전 목록
국어 • 문예 제3회 글로벌경제신문 시니어 신춘문예 공모 1
주최 . 글로벌경제신문
대상 . 일반인 , 기타
22.03.01~22.03.21
심사예정
D-22
접수중
국어 • 문예 스토리코스모스 2022년 상반기 신인발굴 공모전 4
주최 . 스토리코스모스
대상 . 제한없음
22.03.01~22.03.31
심사예정
D-22
접수중
국어 • 문예 제21회 한국문학세상 신춘문예 작품 공모 6
주최 . 한국문학세상
대상 . 일반인
22.02.01~22.02.28
심사기간
D-22
접수중
주최 . 자음과모음
대상 . 기타
22.01.14~22.02.28
심사기간
D-22
접수중
주최 . 동양일보
대상 . 기타
22.03.01~22.03.04
심사예정
D-22
접수중
국어 • 문예 희망봉광장 CAPE OF GOOD HOPE 제37회 신인문학작품상 공모 0
주최 . 희망봉광장문인협회
대상 . 제한없음
22.01.16~22.03.15
심사기간
D-37
접수중
국어 • 문예 2022년도 계간 다시올문학 신인상 작품공모 2
주최 . 계간 다시올문학
대상 . 대학생 , 대학원생 , 일반인
21.12.14~22.03.31
심사기간
D-53
접수중
더 많은 대회 정보는 아래 카테고리에서
'단편소설' 키워드로 체크 하셔서 찾아 보시고,
새로운 공모전 정보가 계속 업데이트 되오니 가끔씩 확인해 보세요.
[대회.공모전] - [학습.문예 ] - [국어.문예 ] 카테고리
https://www.contestkorea.com/sub/list.php?int_gbn=1&Txt_bcode=030120002
2022.02.06.
△ 오펜 영화공모전
시놉시스는 주제, 줄거리, 등장인물, 집필의도 및
기획의도 등을 포함해서 쓰면됩니다.
A4용지 절반~한장을 채우면됩니다.
영진위(영화진흥위원회)에서 한국시나리오공모전을
매해 주최하며, 시나리오대회도 매해 주최됩니다.
공모전은 3~7월 사이 많이 열린다고 보면됩니다.
https://cafe.naver.com/lordby/59694
공모전·백일장 특기자전형 (1년일정달력)
https://cafe.naver.com/lordby/26010
시놉시스 (구성법)①
https://cafe.naver.com/lordby/23042
시나리오 (구성법)②
대학실기시험은 대부분 대학들이 소설형식으로 쓰지만
시나리오 공모전은 명확하게 시나리오 식으로 씁니다.
시놉시스도 포함해서 보내야합니다.
시놉시스(주제, 줄거리, 등장인물, 기획의도)가 읽혀질
정도면 본문(시나리오형식)도 읽혀집니다.
영상·시나리오 공모전 대비 잘 하면 될듯하네요.
기승전결은 소설, 영화시나리오, 희곡, 드라마대본
등 여러영역에서 표현되는 글쓰기 구성방식입니다.
글이나 영상물에도 단계를 설정하는 셈입니다.
예를들어 국어교과서의 발단-전개-위기-절정-결말
순서는 들어봤을겁니다. 이것을 표현하기쉽게 그냥
기승전결로 생각하면됩니다.
▲ 김현석 <시라노 ; 연애조작단>
『영화시나리오』
시나리오 / 희곡은 일정한 형식이 있습니다. 소설처럼
형식에 얽매이지않고 써내기보다는 형식이 있습니다.
장/막 혹은 시퀸스/씬/쇼트에 맞춰서씁니다.
인물이 어떠한 행위를 하고, 배경을 설정하는 게
'기'의 단계입니다. 이러한 행위를 바탕으로 특정
사건이 발생하는 게 '승' 의 단계이며 이후 위기와
반전, 파토스 등을 거치는 게 '전'과 '결' 입니다.
▲ 기승전결
▼ 플롯설치
EX)【플롯을 통한 사건구성】
○스토리 - 왕이 죽었다. 그리고 왕비가 죽었다.
○플롯 - 왕이 죽자, 왕비가 죽었다.
간단명료한 걸 원하셨는데 위와같이 하나의
'인과관계' 를 기준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그리고 그 안에 시간적 순서가 들어있습니다.
이 두 가지를 통해 서사가 생겨나는 것이고 상호
인물들간의 관계가 생겨납니다. 단순하 이야기를
나열하는 게 아니라 묶어주는 게 플롯입니다.
https://cafe.naver.com/lordby/20556
영상학과 기출목록 (영화·다큐)
https://cafe.naver.com/lordby/21215
영상학과 기출목록 (소설·드라마)
https://cafe.naver.com/lordby/53139
영상학과 실기 (기출·후기·합격작해설)
https://cafe.naver.com/lordby/53069
영상학과 실기 (수업문의·커리큘럼)
▲ 영화시나리오 자료서적①
▲ 영화시나리오 자료서적②
처음엔 스토리를 구상하는데 그치고 형식을 갖춰
쓰기가 어렵습니다. 자연스러운 현상이니 너무
걱정하지말고 단계별로 해보면 됩니다.
바로 스토리 구성하긴 어려우니 쇼트, 씬, 시퀸스,
구성단계를 거쳐야합니다. 장면 하나하나 먼저
구성하는 장면구성 단계가 필요합니다.
▲ 영화과
(연출-편집-촬영-음향-제작-시나리오)
영상학과 실기전형은 3등급기준 중앙대 영화과가
커트라인입니다. 4등급전후에서는 동국대,한예종,
세종대, 단국대, 인하대까지 지원할 수 있습니다.
5이하에선 동국대,서경대,수원대,서울예대,성결대,
동아방송대까지 쓸수있습니다. 7전후선 서울예대,
성결대, 동아방송대, 수원대입니다.
영화과는 예체능 실기학과라 문-이과 구분없습니다.
수학도 중앙대-한예종 두 곳 정도만 반영하며 80%
넘는 대학이 수학미반영입니다.
실기70~80%+ 국영 두 과목을 반영하는곳도
많고, 국영탐으로 반영하는 곳이 대부분입니다.
실기를 보기때문에 수학을 제외하거나 동국대
처럼 성적 잘나온 상위10과목 골라담기합니다.
―영화과 / 영상학과 합격권등급컷―
상위권 비실기전형 - 1.3~1.7 (수학반영)
하위권 비실기전형 - 1.7~2.1 (수학반영)
상위권 실기전형 - 2.3~5.0 (수학미반영)
중위권 실기전형 - 2.7~6.0 (수학미반영)
수도권 실기전형 - 4.0~6.5 (수학미반영)
하위권 실기전형 - 5.0~7.0 (수학미반영)
전문대 실기전형 - 4.0~7.0 (수학미반영)
전문대 비실기전형 - 3.0~5.0 (수학반영)
지방권 비실기국립 - 2.3~2.7 (수학반영)
지방권 비실기일반 - 3.3~4.3 (수학반영)
인서울 최상위권은 3등급이며, 중위권은 4~6등급
사이이며, 수도권은 4~7등급이 컷입니다. 완전히
실기에 달려있는 실기학과인 셈입니다.
영화과는 중앙대, 한예종, 한양대, 동국대 정도가
상위권입니다. 단국대, 세종대, 성균관대, 경희대,
서울예대 등도 인지도가 높습니다.
△중앙대 영화과 실기
△ 서울예대 영화과 실기
△ 세종대 영화과 실기
http://cafe.naver.com/lordby/32517
서울예대 영화과 합격작해설
https://cafe.naver.com/lordby/47076
중앙대 영화과 합격작해설
http://cafe.naver.com/lordby/29247
세종대 영화과 합격작해설
https://cafe.naver.com/lordby/63369
동국대 영화과 합격작해설
https://cafe.naver.com/lordby/40578
동국대 영화영상학과 합격후기
https://cafe.naver.com/lordby/50248
한예종 영상원 영화과 합격후기
영화과 실기는 이야기구성, 시나리오 분석,
시놉시스, 쇼트구성, 감상평, 영상분석,
스토리보드-콘티 등등입니다.
출제의도는 극적구성, 장면구성, 캐릭터구축,
플롯설계, 풍자 등이 목적이니 배경묘사와
미장센을 설치해서 표현해주면 더 좋습니다.
『플롯설치 / 기승전결』
주제, 줄거리, 인물, 집필의도가 드러난 형태와
안타고니스트와 프로타고니스트에 대한 극적
설정방식이 있습니다.
기승전결을 갖추고 인과(因果)에 의한 플롯이
형성되는지 여부가 가장 중요하고, 알레고리를
담아내면 가산점이 크게 들어갑니다.
영화영상학과는 실기가 있는대신 대부분 수학미반영
입니다. 실기비율이 70~80%로 절대적이기때문에
실기100%라는 생각으로 대비해야합니다.
영화과-영상학과는 인서울/수도권 주요대학도 실기
잘 보면 3~6등급 내외에서 다수가 선발됩니다.
실기성적으로 광범위하게 커버가 되는겁니다.
▲ 영상학과
(반영비율·평균등급컷)
포괄적으로 정리해드렸으니 참고해서 실기대비
잘 하면 좋은결과 있으실거예요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
영상학과 영상·시나리오 공모전 입시정보를 포함,
영화과 대학별 역대 실기 기출문제와 합격작
풀이해설은 출처주소에 정리해뒀으니 난이도
참고하시면 됩니다.
출처: https://cafe.naver.com/lordby/53139
2022.02.06.
대한민국 대표 공모전미디어 '씽굿'입니다.
문학수기분야에 정리되어 있습니다.
씽굿에는 진행중인 다양한 대회정보,대외활동,공모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 진행중인 공모전은 모두 정리되어 확인이 가능합니다.
참여 가능한 대외활동, 공모전, 대회들은 언제나 진행중에 있습니다.
분야별로 도전해 보시고 좋은 결과 있으시기 바랍니다.
2022.02.06.

공모전은 수시 또는 상시로 많이 진행됩니다.
아래 공모전 사이트 확인 해보세요.
좋은결과 응원합니다.
화이팅~!
공모전 대외활동 사이트 입니다.
여기서 찾아보시면 될 것 같아요.
참고 하세요. ^^
공모전 대외활동 위비티 https://www.wevity.com
2023.08.11.
2022 단편 영화나 단편 소설을 위주로 하는 시나리오 공모전을 찾고 계신 것 같네요! 이러한 공모전은 참여자들이 짧은 형식의 작품을 제출하여 상금이나 상장 등의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줍니다.
시나리오 공모전을 찾을 때에는 각 영화제나 축제에서 진행하는 공모전, 문학관련 단체에서 주관하는 공모전, 출판사에서 개최하는 공모전 등 다양한 정보를 찾아보시면 됩니다. 또한, 인터넷 검색을 통해 여러 온라인 플랫폼에서 진행되는 시나리오 공모전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시나리오 공모전 중 인지도가 높은 공모전으로는 삼성문화재단이나 한국문학주단에서 주관하는 공모전, 국내외 영화제나 문학제에서 개최하는 공모전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공모전은 참여자들에게 좋은 기회를 제공해주고, 수상자에게는 큰 관심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줍니다.
시나리오 공모전에 참여하시면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고 작품을 완성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희망하는 공모전에 신청하여 참여해보시길 권장드립니다!
2024.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