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답변 주시면 감사합니다.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다가구, 근생, 신축 오피스텔, 신축 빌라라면 월.세만 가시구요.
신축빌라 분양가 뻥튀기 심함!
보증보험 가입도 안된다면 다른집 찾아보시구요..
(홈텍스 들어가셔서 공시가 확인해보세요)
●빌라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공시가 확인(126%내 내 전세금이 들어오는지 공시가×1.26=보증보험 가입 요건)
●오피스텔 기준시가>홈텍스 공시가 조회(단위면적 기준시가×건물면적×.1.26)
오피스텔은 공시가와 매매시세가 크게 차이나지않음
깡통 전세 95%이상, KB시세=전세가 깡통
●아파트는 KB시세가 정확
KB시세 안나오는곳은 빌라랑 마찬가지
.최소 150세대 이상돼야 어느정도 규모있는곳( 300세대이상 대단지 아파트 추천 KB시세나오는 구축이나 막 입주시작한 300세대이상 아파트)전세가율 70% 맞춰라.(전세가율 낮은곳 찾기=보통 대단지아파트)
●매매, 전세계약 동시 진행 피해라.물론 전세계약 잔금 다 치루고 매매는 괜찮(대항력갖춘 뒤매매는 괜찮)다만, 깡통이라면 무의미
●보증보험특약,보증금반환특약("예:중소기업청년대출이 안나올시 계약을 파기하고, 계약금을 임차인한테 반환한다") 거시고, 중기청100 대출경우 대출+보험동시에 이뤄지니 그걸로 알아보세여!
●전세로갈땐 무조건 국세,지방세납부확인서 꼭 받으세요. 나중에 집이 경매넘어가면 집주인 세금 떠안을수 있습니다.
2023.05.13.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