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허난설헌이 지은 시를 알려주세요

허난설헌이 지은 시가 210수 가량 된다는데

유언대로 불태웠다고 하는데

 

전해지는 시를 모두 알려주세요 *^^* 내공 겁니다~ ㅎ

내 프로필 이미지
  • 질문수5
  • 채택률80.0%
  • 마감률80.0%
닉네임suah****
작성일2008.07.24 조회수 10,092
답변하시면 내공 10점을 답변이 채택되면 내공 55점을 드립니다.
지식인 채택
1번째 답변
스머프할배학당
채택답변수 5,278받은감사수 3
태양신
프로필 사진

한국사 17위, 흉부외과 12위, 정부기관 8위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프로필 더보기
허난설헌 [, 1563~1589]
요약
조선 중기의 여류시인. 불행한 자신의 처지를 시작으로 달래어 섬세한 필치와 여인의 독특한 감상을 노래했다. 중국에서 시집 《난설헌집》이 간행되어 격찬을 받고 일본에서도 간행, 애송되었다.
본관양천()
난설헌
본명초희()
별칭별호 경번()
활동분야문학
출생지강릉()
주요작품《유선시()》,《빈녀음()》,《곡자()》
허난설헌묘 / 경기 광주시 초월읍 지월리. 경기기념물 제90호.
본문

본관 양천(). 호 난설헌. 별호 경번(). 본명 초희(). 강릉() 출생. 균()의 누이. 이달()에게 시를 배워 천재적인 시재()를 발휘했으며, 1577년(선조 10) 김성립()과 결혼했으나 원만하지 못했다고 한다. 불행한 자신의 처지를 시작()으로 달래어 섬세한 필치와 여인의 독특한 감상을 노래했으며, 애상적 시풍의 특유한 시세계를 이룩하였다. 작품 일부를 동생 균이 명나라 시인 주지번()에게 주어 중국에서 시집 《난설헌집》이 간행되어 격찬을 받았고 1711년 분다이야 지로[]에 의해 일본에서도 간행, 애송되었다. 작품으로는 시에 《유선시()》 《빈녀음()》 《곡자()》 《망선요()》 《동선요()》 《견흥()》 등 총 142수가 있고, 가사()에 《원부사()》 《봉선화가》 등이 있다.

난설헌집 []
요약
조선 선조 때의 시인 허난설헌()의 시집.
구분시집
저자허난설헌
시대조선시대
본문

그녀의 남동생 허균()이 수집하여 1608년(선조 41)에 간행하였다. 필사본. 1책. 23.4×15.2cm. 내용을 보면 각체()의 시() 외에도 허씨의 8세 때의 작품이라고 전하는 광한전백옥루상량문(殿)이 실려 있고, 명()나라 사신 주지번()·양유년() 두 사람의 서문이 책머리에 실려 있다. 그후 1692년(숙종 18)에 동래부()에서 중간()하였고, 1913년에는 국판활사본()으로 발행하였다. 여기에는 선조 때의 역관() 허순(蒓)과 명나라 여자와의 사이에 태어난 경란()이란 여류시인이 난설헌의 시를 차운()한 약간 편을 합편하고 있다.

내용은 5언고시()로 소년행() 등 27수, 7언고시()로 동선요() 등 8수, 5언율시()로 효이의산체() 등 14수, 7언율시()로 춘일유회() 등 19수, 5언절구()로 축성원() 등 24수, 7언절구로 보허사() 등 142수가 수록되어 있고, 고부()로 한정일첩() 1편, 잡저로 광한전백옥루상량문과 몽유광상산시서() 2편이 실려 있다.

여성의 심회()와 아름다운 선경을 노래한 것이 많아 한시() 문학사의 좋은 자료가 된다.

 

위의 네이버 백과사전에서 인용한 바와 같습니다.

제 의견은 홍길동의 저자 허균의 누이로 남매 모두 조선이라는 폐쇄적인 나라에서 태어나지 않았다면 두 사람 모두 세익스피어를 능가했을 것 입니다.

특히 허난설헌은 너무 아까운 조선의 여인이었습니다.

왜, 그 보석 같은 작품들을 남기지 않았는가 하며 너무 한스럽습니다.

알아두세요!

위 답변은 답변작성자가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포인트 선물할 때 참고해주세요.

2번째 답변
Grace
채택답변수 58
고수
프로필 사진

학교생활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프로필 더보기

제가 아는걸론 규원가 가 있는대요

 

허난설헌이 솔직히 막돼먹은 남편만나고 엄한 시어머니만나 일찍죽었잖아요

 

규원가에선 그런 상황에 대한 한탄을 노래한거에요..

 

알아두세요!

위 답변은 답변작성자가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포인트 선물할 때 참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