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7차교육과정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어요
21bl**** 조회수 10,088 작성일2003.07.22
6차교육과정과 7차교육과정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그리고 7차교육과정의 장단점과 7차교육과정에서 가장 주안점을 두고 있는건 어떤게 있는지 쉽게 설명해주세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pant****
영웅
대학 입시, 진학, 영어 공부, 시험, 사회, 도덕 분야에서 활동
-제7차 교육과정의 개정 중점

▒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의 편성과 학생 선택 중심교육과정의 도입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 까지를 국민공통 기본교육기간(10년)으로 설정하여 학년에 따라 일관성 있는 교육을 실시합니다.
고등학교 2,3학년에서는 교과에 따라 일반 선택과 심화 선택으로 나누고, 다양한 선택 과목을 개설하여 과정·계열의 구분 없이 운영함으로써 학생의 선택 폭을 넓혔습니다.

▒ 수준별 교육과정의 도입
학생의 능력(개인차)에 따른 다양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교과 특성에 따라 단계형, 심화·보충형, 과목 선택형 등 세 가지의 수준별 교육과정을 도입하였습니다.

▒ 재량 활동의 신설·확대
자기 주도 학습 능력의 신장을 위한 범교과 활동 재량 시간을 학교, 교사, 학생이 함께 선택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 학습량 최적화와 수준 조정
학습 부담을 줄이기 위해 교과별 최저 필수 요소 중심으로 학습 내용을 정선하고, 범위와 수준도 조정하였습니다. 아울러, 학교급별 이수 과목 수도 축소하였습니다.

▒ 교육과정 평가 체제 확립
학생이 성취해야 할 교과별 성취기준을 설정하고 이 기준에 따라 학력을 평가합니다.학교별로 편성하는 교육과정의 평가 체제도 확립합니다.

▒ 창의성, 정보 능력 배양
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컴퓨터 교육과 개방적, 창의적 교육활동을 강화합니다.


위의 여섯가지가 7차교육과정의 개정중점이고요. 두드러진 특징으로는 구성주의에 입각한
학생주도적인 학습을 강조하였고, 교사의 교수-학습에 관한 다양성을 많이 강조한 것 같네요.
이런 점은 시도는 좋아보이지만, 지금 현재의 학교 실태와 교육의 현실을 무시한 점,
교사들에게 지나치게 수업에 대한 부담감을 가중시킨 점이 아쉽네요.
수요자 중심의 교육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인성교육에도 어려운 점이 많을 것 같네요.

2003.07.29.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