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법면[法面]/법사면[法沙面]:
국어 사전적 의미로는 둑이나 호안, 절토 따위의 경사면을 말하며,
1. 가장 간단하게 경사진 땅을 말합니다.
부지를 형성하고 있는 언덕의 비탈면 또는 경사면 부분이나 토지의 높낮이가 다른 중간 부분의 연결 지면을 말합니다.
2. 보통은 석축이나 옹벽 또는 토사로 절토되거나 성토된 곳도 있습니다.
이를 법면 상태라 하며 이런 상태의 지면을 법면지, 범위가 크면 법면 지역이라 한다.
3. 경사면 중에서도 인위적인 즉 사람에 의해서 생기는 면을 법면이라 합니다.
법면의 어원은 일본 말에서 유래 되었구요, 법면에는 절토 법면, 성토 법면이 있습니다. 절토(흙깍기)를 하던 성토(흙을 무성하게 쌓는 것)를 하던 간에 법면(경사면)이 생깁니다. 그 경사면을 사람이 하던 기계가 하던, 절토나 성토 후에 면 정리를 깨끗이 하는 것을 법면정리라 합니다.
2019.06.21.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 참여
법면
도로나 철도를 설치하기 위해 밑바닥부터 도로나 철도 이용부분까지 흙 등으로 쌓은 경사면 부분. 경사면을 만드는 것은 붕괴를 막기 위한 것이다. 토지면적 계산은 지형과 토지의 고저에 불구하고 수평투영면적으로 산정한다. 따라서 도로부지나 철도부지의 면적은 밑바닥면적으로 계산한다. 택지도 마찬가지여서 축대를 쌓으면, 축대 바닥 면적이 택지면적이 된다
사면
경사가 진 평면이나 지면을 수평면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비탈’, ‘비탈면’으로 순화.
2019.06.21.
- 참여
엑스퍼트 전문가를 모십니다! 지식 공유하고 수익도 창출할 수 있는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