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우리나라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중앙행정기관은 어디인가요??????
수성 조회수 2,809 작성일2016.09.28
우리나라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중앙행정기관은 어디인가요????
1.중앙행정 기관이란?(쉽게설명부탁합니다.)
2.교육부와 교육과학기술부는 같은 말인가요?
3. 2번에 나오는 기관을 설명해주세요.만약 다른것이라면 각각 설명해주세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떠나자어디든
영웅
대학 입시, 진학, 방송, 통신 교육 분야에서 활동


1. 국가의 행정사무를 담당하기 위하여 설치된 행정기관으로서 그 관할권의 범위가 전국에 미치는 행정기관을 말한다. 중앙행정기관은 원칙적으로 정부조직법에 의해 설치된 부·처·청만을 의미하지만 개별 법률에 의하여 설치가 가능하다. 설치와 직무범위는 법률로 정해지며, 그 보조기관의 설치와 사무분장은 법률로 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대통령령으로 정해진다(정부조직법 제2조 1항). 조직구성으로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그 기관의 장관·차관·차장·실장·국장(외국의 국장을 포함한다) 또는 부장 및 행정자치부의 본부장 밑에 정책기획, 계획입안, 연구·조사, 심사·평가 및 홍보 등을 통하여 그를 직접 보좌하는 담당관이 있다(정부조직법 제2조 4항).

[네이버 지식백과] 중앙행정기관 [中央行政機關] (경찰학사전, 2012. 11. 20., 법문사)


2. 같은말입니다.


3. http://www.moe.go.kr/main.do

규모3실 3국 10관 49과 (2014년 3월 기준)
주요 활동초·중·고등교육, 평생교육, 인적자원 개발정책, 학술 등에 관한 정책 수립·시행과 사무 관장, 교육기관·소속기관·산하단체 지휘 및 감독

1948년 7월 정부조직법에 따라 1실(비서실), 5국(보통교육국·고등교육국·과학교육국·문화국·편수국) 22과로 구성된 문교부가 설치되었다. 1961년 문화공보부가 신설되면서 문화 관련 사무를 이관하였고, 1982년 신설된 체육부에 체육 관련 사무를 이관하였다. 이후 1990년 12월 교육부로 개칭되었고, 2001년 1월 국가 수준의 인적자원 개발정책을 수립하고 총괄·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교육인적자원부로 개편되고 장관은 부총리급으로 격상되었다.

2008년 2월에는 폐지된 과학기술부의 일부 기능을 통합하여 교육과학기술부로 개편되고 부총리제가 폐지되었다. 2013년 3월 박근혜정부 출범과 함께 다시 교육부로 개편되었고, 종전 교육과학기술부의 과학기술 관련 업무는 신설된 미래창조과학부로 이관되었다.

주요 업무는 교육에 관한 중장기 발전계획의 수립, 초·중등학교 교육제도 및 입학제도의 개선, 고등교육 기본정책의 수립 및 시행, 공교육 정상화 정책의 수립 및 시행, 지방교육자치제도 기본정책의 수립 및 제도 개선, 인재개발 정책의 기획 및 총괄 등을 비롯한 학교교육과 평생교육, 인적자원 개발정책 및 학술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것이다.

조직은 장관 1명과 차관 1명 밑에 3실(기획조정실·교육정책실·대학정책실) 3국(지방교육지원국·평생직업교육국·교육정보통계국) 10관(감사관·정책보좌관·정책기획관·국제협력관·학교정책관·창의인재정책관·학생복지안전관·대학정책관·대학지원관·학술장학지원관) 49과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소속기관으로 국사편찬위원회·국립특수교육원·중앙교육연수원·교원소청심사위원회·국립국제교육원·대한민국학술원 등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교육부 [Ministry of Education, 敎育部] (네이버 기관단체사전 : 종합, 굿모닝미디어)

2016.09.28.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