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부산대 IT응용공학과
한국기술교육대 전기전자통신공학부
이 3개 학교 모두 합격했다 전제하에 어디가는게 나을까요
한기대는 장학제도나 아웃풋 그외의 여러가지 방면에 이점이 좋아서 고민이고
동국대는 명성이 높고 공대가 알아준다고 들었어요
부산대는 말할 필요도 없는 지방국립 최고인데 밀양캠이라는 점이 흠이에요 어디가는게 좋을까요?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학교 인지도라면 동국대나 부산대 중에 고를 것 같습니다.
동국대 전산원은 나름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고, 정보통신공학과도 그 명성을 이어받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부산대 IT응용공학과는 밀양캠 소속이긴 하지만, 절대 분교 아닙니다. 우선 부산대는 "캠퍼스 내 전과"와 "캠퍼스 간 전과"의 구분이 없습니다. 중앙대 안성캠, 경희대 국제(용인)캠, 경북대 상주캠, 전남대 여수캠, 강원대 삼척캠과는 확실히 다른 점입니다. 그리고 장전캠퍼스의 정보컴퓨터공학부 학생과 과제 등을 같이 하는 경우도 많다고 들었습니다.
그리고 밀양이 시골이라 밀양에서 듣는 수업을 줄이고 싶다면, 꼭 전과가 아니더라도, 교양과목을 장전캠퍼스에서 듣거나, 장전캠퍼스 등의 타학과를 복수전공하거나(복수전공을 하면, 원전공 학과에서 이수해야 할 심화전공(전공선택)학점이 줄어듭니다.), 국내 타대학교로 학점교류신청(최대 4개학기(2년)까지 신청할 수 있고, 서울대, 고려대, 서강대, 성균관대, 한양대, 중앙대, 경희대, 시립대 등등으로 신청 가능하며, 학비는 정규학기라면 부산대 기준으로 내기에 저렴합니다.)을 하거나, 해외 교환학생(부산대에서 보내주는 외국대학 중에 세계랭킹 100위 이내이거나 그에 필적하는 해외 명문대가 몇십개는 족히 넘습니다. 학비는 역시 정규학기라면 부산대 기준으로 냅니다.)으로 들은 수업을 전공학점으로 인정받는 방법 등 많습니다. 본인 하시기 나름입니다. 국내학점교류나 해외교환학생으로 들은 수업을 전공학점으로 인정받으려면 학과 주임교수(학과장)님의 승인을 사전에 거쳐야 합니다.
게다가 공기업 지방할당제(지역인재전형)에서도 부산대 IT응용공학과면 경남 소재 공기업을 노릴 수 있는데, 현재 국토교통부에서 부산/울산/경남의 지방할당제 권역통합을 추진중입니다. 그러면 부산/울산/경남 소재 공기업들 모두 노리실 수 있습니다. 거기에 공기업 지방할당제 채용비율도 최대 50%까지 늘어날 수 있다고 봅니다. 정부나 국회(민주당이든 국민의힘이든)나 딱히 반대하는 사람이 많지 않아서요. 공기업 지방할당제에서는 학생의 고향보다, 최종 졸업학교의 소재지역이 어디냐가 훨씬 더 중요합니다.
부산대 IT응용공학과에서 노릴 만한 경남 소재 공기업으로는 한국시설안전공단, 주택관리공단, 한국남동발전,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세라믹기술원, 한국승강기안전공단, 한국토지주택공사,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등이 있고, 부산 소재 공기업으로는 한국예탁결제원,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 기술보증기금, 게임물관리위원회, 영상물등급위원회, 영화진흥위원회, 한국남부발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등이 있으며, 울산 소재 공기업으로는 한국동서발전, 한국에너지공단, 한국석유공사, 근로복지공단,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에너지경제연구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등이 있습니다.
한국기술교육대는 국립이긴 하나, 종합대학교이자 상위권 거점국립대인 부산대, 인서울 유명 사립인 동국대에 비하면 인지도가 낮은 편이고, 공기업 지방할당제도 충남대, 충북대, 고려대 세종 등과 나눠 먹어야 합니다. 저라면 부산대나 동국대 중에 고를 것 같습니다.
2020.12.10.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동국대는 서울시립대나 국민대와 어디가를 보면 비슷한 대학입니다.
중앙대=건국대=경희대>동국대=국민대=서울시립대>홍익대>숭실대>세종대=단국대(어디가 2020년도)
입학점수는 위와 같습니다.
건국대가 많이 상승했고 중앙대도 발전 동국대도 발전 국민대도 발전 서울시립대가 인기가 약간 하향입니다.
국립대나 공립대를 안가려고하고요 사립을 가서 경쟁력있는 인재로 거듭나려는 수험생이 많습니다.
장학금도 학교에서 많이 줍니다.
2020.12.10.

한기대가 아웃풋이 좋죠.
삼성그룹총장추천 할당비율을 예로 들면 한기대가 압도적입니다. 졸업자수 대비 비율 링크입니다.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imheadhunter&logNo=120206425138&categoryNo=0&parentCategoryNo=41&viewDate=¤tPage=1&postListTopCurrentPage=1&from
서울대 - 3.17%
한기대 - 2.99%
한양대 - 2.98%
한국항공대 - 2.95%
성균관대 - 2.81%
한동대 - 2.66%
고려대 - 2.47%
연세대 - 2.45%
서강대 - 2.25%
광운대 - 2.10%
아주대 - 2.08%
부산대 - 2.07%
금오공대 - 2.02%
경북대 - 1.93%
홍익대 - 1.87%
서울시립대 - 1.78%
인하대 - 1.78%
한국외국어대 - 1.78%
중앙대 - 1.53%
건국대 - 1.49%
동국대 - 1.37%
단국대 - 1.28%
부경대 - 1.26%
숭실대 - 1.16%
경희대 - 1.09%
전남대 - 1.08%
상명대 - 1.07%
명지대 - 0.97%
숙명여대 - 0.97%
충북대 - 0.97%
이화여대 - 0.95%
인천대 - 0.95%
한신대 - 0.95%
서울여대 - 0.89%
삼육대 - 0.88%
영남대 - 0.88%
동덕여대 - 0.85%
가톨릭대 - 0.83%
덕성여대 - 0.83%
세종대 - 0.83%
국민대 - 0.81%
산기대 - 0.81%
안양대 - 0.80%
성공회대 - 0.78%
안동대 - 0.75%
전북대 - 0.75%
한성대 - 0.74%
순천대 - 0.71%
경남과기대 - 0.69%
창원대 - 0.69%
강원대 - 0.67%
경상대 - 0.64%
목포대 - 0.64%
성신여대 - 0.64%
건양대 - 0.61%
동아대 - 0.60%
순천향대 - 0.60%
인제대 - 0.60%
강남대 - 0.59%
관동대 - 0.55%
서원대 - 0.55%
울산대 - 0.52%
군산대 - 0.51%
제주대 - 0.51%
2020.12.11.

엑스퍼트 전문가를 모십니다! 지식 공유하고 수익도 창출할 수 있는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