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조회사이트에서 조회하신다음에 환급 진행하시면 됩니다.
네 만료되지 않았으니 안심하셔도 됩니다.
주소는 기준은행으로 보셔야 합니다.
2023.11.27.
-
채택
지식인 채택 답변입니다.
자동차 미상환 채권환급금이 조회되지 않는 경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는데요.
해당 부분은 아래의 글에서 더 자세히 확인하실 수 있도록 남겨드리고 갑니다.
환급금이 없는 이유를 꼼꼼하게 확인하시고, 해당하지 않는다면 정부기관으로 문의하시면 됩니다.
제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채택 꼭!!!! 부탁드립니다.
2024.07.27.
1.자동차 구입 시에 채권 가입 여부는 계약서 등을 확인하면 알 수 있습니다. 계약서에 "지역개발채권 납입 확인서"가 첨부되어 있는 경우, 해당 채권이 가입되어 있는 것입니다.
2.서울 지역은 만기(7년) 후 10년 이내 시효가 만료됩니다. 따라서, 2009년에 구입하신 차량은 만료되지 않았습니다.
3.주소지가 서울이지만 차량은 경기도에서 구매하셨다면, 경기도 기준 은행으로 조회해 보셔야 합니다. 경기도 지역은 NH농협은행에서 조회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계약서를 확인하여 채권 가입 여부를 확인하신 후, 경기도 지역 은행으로 조회해 보시기 바랍니다.
구체적으로, NH농협은행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공과금 > 공채업무 > 자동차 환급금 조회 메뉴로 이동하신 후, 차량번호와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만약, 경기도 지역 은행에서도 조회가 되지 않는다면, 해당 차량이 지역개발채권에 가입되어 있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경우, 자동차세 납부 시 발급되는 자동차세 납부확인서를 확인하여 지역개발채권 가입 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동차 환급금 조회방법에 관한 글이 있어 공유드립니다.
도움되시길 바라겠습니다.
2024.01.26.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당시에 채권을 매입한게 아니라 즉시 할인을 한 것이 아닌지요? 당시 채권 비용으로 수십만원 정도만 냈다면 100% 할인이라 보시면 됩니다. 할인은 매입한 것 처럼 하여 다시 은행에 되파는 형식이라 그냥 그 수수료(할인)만 내고 마는 것이니 당연히 매입 내역이 나올 수 없습니다.
2023.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