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장기요양등급 문의 (재가등급 나와 이의신청 하려함)
비공개 조회수 988 작성일2024.06.17
안녕하세요
작년 11월 남편이 갑자기 쓰러지셔서
부산대학병원에서 긴급수술하셨는데
대동맥파열로 인한 심장수술 기계판막 설치하고
뇌경색과 하반신 완전마비가 왔습니다
대소변 전혀 가릴 수 없으며 상체는 그나마 괜찮으나
오른팔 기능이 완전히 돌아오지 않아 왼팔로 거의 모든걸
합니다
자세변경 혼자 할 수 없으며 인지능력 괜찮으나 말은
어눌하게 하며 부정확합니다
알아듣기 힘들때가 자주 있습니다
재활요양병원에 반년정도 있었으며 욕창으로 간병인 도움을
받아 수시로 자세변경 해야 합니다
시설 등급 신청하였으나 재가등급인 3등급이 나왔습니다
경제적 어려움과 본인 몸상태 산후풍으로 30년 넘는 세월동안 경제활동 한번 못했으며 디스크 협착증 심하여 삼십분 걸으면 몇시간은 누워있어야 합니다
앞길이 너무 막막하네요 집은 자가이나 30년 넘은 아파트에
엘리베이터도 없는 4층이며 차도 없습니다
이미 모아둔 돈 수술비 대학병원 요양병원 병원비로 다 탕진하였으며 집에서 환자 케어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2등급은 나올 줄 알았는데 인지능력 하나만 보고
재가등급이 나와 너무 막막하네요
일단 시설등급변경 신청하고 차후에 이의신청해서 2등급 될 수 있는 방향으로 하고 싶은데
이런쪽에 문외한이라 나무 막막합니다 도움부탁드립니다
어떻게 해야 2등급까지 받을 수 있을까요
자격요건이 안되는걸까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3개 답변
2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굿모닝의료기
초인
의료기관, 의료인, 의료보건제도 85위, 장애인복지 분야에서 활동

일단 지금 2등급을 노리기보다는 3등급이라도 시설등급으로 갱신신청을 시도하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현재 하반신을 전혀 못움직이는 상태라 24시간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한 상황인데 왜 시설급여가 안나왔는지 이해가 안되네요.

그래서 3등급이라도 시설급여를 신청하시도록 하세요.

그리고 장애등급도 신청을 하세요. 발병 후 6개월이 지난 상황이므로 장애등급 가능합니다.

https://blog.naver.com/goodmorning1967/223257145660?trackingCode=blog_bloghome_searchlist

2024.06.19.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김영준
전문의
학교법인성균관대학 삼성창원병원

안녕하세요. 하이닥-네이버 지식iN 상담의 김영준 입니다.

질문 감사합니다. 아직 수술 후 입원 중인 것으로 생각이 되어집니다. 답답한 마음은 이해가 되지만 입원 중이라면 지금의 궁금증에 대한 원인과 그 해답을 가장 잘 알고 계시는 분들이 바로 옆에 있습니다. 당사자의 상태를 가장 정확하게 알고 있고, 더불어서 이를 바탕으로 가장 적절한 치료를 해 주실 분들은 수술을 집도하신 집도의와 수술에 참여하신 주치의 선생님들입니다. 지금은 당사자의 상황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다른 제 3의 의사에게서 잘 모르는 이야기를 듣고 오해가 생길 수가 있으니 지금은 최선을 다해서 잘 치료받으시고, 의료진과 가능한 더 자주 상담하고 현재의 진행 상황에 대해서 설명을 들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4.06.17.

본 답변은 참고용이며, 답변을 제공한 개인 및 사업자의 법적 책임이 없습니다.
3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비공개 답변
초수

안녕하세요!

노인장기요양등급 '재가등급 3급'을 받으셨으나, 만약 요양원에 입소(시설급여)가 필요하신 경우라면 건강보험공단에 장기요양등급 급여종류 변경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변경신청서 양식은 첨부파일 확인해 주세요!

장기요양등급은 등급이 높을 수록 지원 혜택도 높아지지만 동일한 비율로 본인부담금이 산정되기 때문에 등급이 높아질수록 본인부담액도 높아지게 됩니다.

시설급여로 변경하시고 요양원에 입소하신 후 한두달 지나보시고 등급을 변경하셔야겠다면 그때 하셔도 늦지 않습니다. 또한 장기요양보험은 본인부담금을 감경해주는 제도도 있으니 아래에서 상세하게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노인장기요양등급 등급별 지원혜택 및 본인부담금에 대한 더욱 상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노인장기요양 감경대상자 기준에 대한 더욱 상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4.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