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굳이 따지자면, 연말정산 세액 환급받는 금액을 다시 펀드에 재투자한다고 생각했을 때, 연복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매달 34만원씩 꾸준히 계속 납부하시는 것은 다시 생각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물론 세액공제 혜택이 좋긴하지만, 최소 연금저축펀드는 10년이상 유지를 해야 하는데 중도에 해지할 경우 지금까지 받은 연말정산 혜택을 모조리 돌려줘야하기 때문에 본인이 오랫동안 부담할 수 있는 금액으로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인생이라는 것이 항상 순탄할 수 없기 때문에, 갑작스럽게 목돈이 필요한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2021.10.28.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안녕하세요
고객의 이익/혜택을 우선으로 하는
35개 전 보험사를 관리하는 김용준 팀장(☎4744-7706)입니다.
노후 연금을 확보하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한 쪽에 모는 것은 권장 해드리지 않습니다.
장점 단점
연금저축 세액공제 펀드 제한적, 연금소득세(5.5~3.3%)
변액연금보험 비과세, 다양한 투자처 세액 공제X
연금저축은
- 당장은 세액공제의 혜택이 있으나 연금 수령시 연금소득세 납부하므로
- 세액공제 혜택 총액의 40~80%는 다시 세금으로 냅니다.
- 증권사의 연금저축용 펀드는 종류가 적습니다.
그러니 주식, 펀드와 더불어
요즘은 "AI가 굴려서 안정적 수익률"이 나오는 변액연금보험도
고려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2021.10.29.
연금저축펀드는 복리가 아닙니다. 연금저축펀드는 펀드나 ETF에 투자하는 것이기 때문에 낮을 때 구매해서 높을 때 판매해서 버는 차액이 수익이 되는 구조입니다. 그러므로 복리라던가 하는 구조가 아니에요.
혹은 그 수익을 다시 투자하는 개념으로 본다면...... 그렇게 되면 복리라고 말할 수 있겠지만 엄연히 말씀드려 복리라는 단어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맞습니다.
아마도 연금저축보험과 헷갈리신 거 같아요. 연금저축보험이라면 복리의 개념으로 보시면 맞습니다. 연금저축보험은 보험회사의 공시이율을 복리이자로 받는 개념이기 때문이지요.
혹시 복리를 원하시는 것이라면 연금저축보험으로 이전을 하시면 됩니다. 그러나 요즘 추세가 연금저축보험에서 연금저축펀드로 이전해서 투자하는 것인 만큼 현재 펀드를 잘 운용해 보심이 좋을 거 같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안내받고 싶으신데, 증권회사가 삼성증권이라면 제가 도움을 드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증권회사에서 하신다던가 혹은 비대면원격재테크 상담을 원하신다면 아래 동영상을 클릭해 주세요. 동영상 15초를 보시면 무료로 재무설계상담까지 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게시물은 소정의 대가를 받고 작성됐습니다.
2021.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