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HDTV에 대해서 아시는분..
cheo**** 조회수 13,505 작성일2002.11.05
혹시 HDTV에 대해 자세히 아시는분 있으신가요? 어느 브랜드가 좋은것인지?
같은 HDTV라도 STP(set top box)가 내장되어있는것이 있고 없는것이 있다는데..Satelite나 케이블을 신청하면 같이 따라오는 박스가 STB인가요? 아니면 별도로 STB를 구입해야하나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2개 답변
2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dw****
초수
우선 TV의 종류가 기계적인 기술 차이에 따라 브라운관 방식(CRT), 프로젝션, LCD, PDP가 있다는건 아시죠.
여기서 화질에 따라 SD(480P), HD(720P, 1080i)로 나뉩니다.
HD 방송을 제대로 보려면 당연히 HD급으로 구입해야 합니다.
스카이라이프와 DVD가 SD급입니다.
또, 화면 비율에 따라 4:3, 16:9 (Wide) 2가지로 나뉩니다.

화질은 CRT > LCD,PDP >> 프로젝션 순이라고 봅니다.
화면 1인치당 가격은 LCD > PDP >> CRT > 프로젝션,
화면 최대 크기는 PDP,프로젝션 >> LCD > CRT 순입니다.

시판되는 HDTV 중에서 최상의 화질을 보여주는 것은 Sony Wega KV-DW36K9H 입니다.
16:9 36인치 HDTV로 STB는 별도이고, 비싼게 유일한 단점입니다. 약 350만 정도합니다.
가격대비 성능으로는 국산이 좋습니다. 100만원대부터 구입 가능합니다.
삼성 제품도 좋고 대우 써머스도 좋다고 합니다.

STB는 HDTV에 특별히 내장형이라고 써놓지 않은 이상 별도로 구매해야 합니다.
위성수신이나 케이블 방송에 사용하는 기기와는 전혀 다른 것입니다.
HDTV STB는 HDTV 방송 수신을 위해서 별도로 나온것입니다.

HDTV에 HD급이라고 써 놓은 것은 STB가 내장되지 않은 것입니다.
STB의 가격대는 중소기업제품 60만원대부터 구입할 수 있습니다.
40GB HDD를 내장한 LG 신제품은 HD 방송의 경우 약 4시간 정도 녹화가 가능합니다. 100만원 정도 하더군요.
HD방송의 녹화 및 저장 장치로는 HDD 방식과 DVHS가 있습니다.

PC에 HDTV 수신카드(약 40만원)를 달면 녹화도 가능하고 가격대비 성능은 최고입니다. 좀 불편한거 빼고..

TV를 구입하실 때 고려할 점 하나가 용도입니다.
DVD 영화나 HD 방송을 위주로 본다면 절대 16:9가 좋습니다.
하지만 일반방송이 대부분이라면 4:3으로 하는게 현실적입니다.
앞으로 3년~5년 후를 본다면 16:9가 바른 길이겠지요.
가격은 16:9가 화면크기를 고려할 때 훨씬 비쌉니다.

HDTV 방송은 아직은 미국이나 일본처럼 많지는 않지만 볼만큼은 나옵니다.
대표적인 방송으로는,
주말 드라마 대망, 한국의 미, SBS 인기가요, 뉴논스탑 3, 프로축구, 프로농구(예정), 기타 다큐멘터리, 가끔 영화 등이 있습니다.

HD 방송전파는 현재 관악산에서 공중파로 송출하고 있고, 남산에서도 송출할 계획에 있습니다. 따라서, 수도권은 거의 수신 가능합니다.
지역 케이블 TV에서 재전송하기도 합니다.

2002.11.05.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마리호야
고수
정신건강의학과, 연애, 결혼, 인체건강상식 분야에서 활동
아직은 디지탈 방송의 시대가 아니잖아요(간혹 몇몇 방송들만..).
그래서 보급이 덜 되다 보니 분리형 HDTV뿐 아니라 STB내장형은 더욱 값이 비쌉니다.
굳이 HDTV를 사셔야 한다면 분리형을 사셔서
STB는 디지탈 방송이 개막을 하고 값이 많이 저렴해진후에 사세요.
그리고 케이블방송을 보신다면 굳이 STB는 안사셔도 될겁니다.
그냥 TV도 케이블만 달면 디지탈 지원 된다구 하거든요.


참고로 STB는 디지탈 방송을 수신 가능하게 해주는 기계입니다.

2002.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