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주택용-비주거용 요금을 직접 납부하고 있다면 직접계약자에 해당될 가능성이 높아요.
하지만 전기요금이 건물주 명의로 나오고, 사무실 임대만 받고 있는 경우라면 비계약자 > 타인명의로 보시면 돼요.
타인명의일 경우엔 전기요금 고지서 사본이 필요한데, 건물주나 관리사무소에 요청하면 받아볼 수 있어요.
요즘 종이 고지서 안 오는 경우도 많으니, 건물주가 한전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출력해줄 수 있으면 제일 좋아요 :)
2025.03.31.

질문: 소상공인 전화 연결이 너무 안되어서 지식인의 힘을 빌려보고자 합니다
혈육이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 최대 20만원 지원 문자를 받았는데요
유형 구분부터 막혀서요
혈육 사무실이 A 건물에 세 들어가 있고 주택용-비주거용 한전 전기 요금을 납부하고 있는데
이런 경우는 직접계약자/비계약자 중 어디에 속하나요?
그리고 비계약자라면 타인명의/사무소 등 별도관리/기타(자율관리) 중 어디에 속하는지요
또 타인명의라면 전기요금 고지서 사본을 첨부해야하는데 이 전기요금 고지서는 어디서 구하나요
요새 종이로 날아오지도 않는데!!!!
답변드립니다. 질문자님 전기 요금이 건물주 명의로
고지되면 비계약자고 본인명의면 직접계약자 입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정보 및 신청방법은
아래 글에 정리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고
도움되셨다면 채택도 부탁드려요 :)
2024.07.24.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은 에너지 비용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위해 정부가 제공하는 재정 지원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소상공인들이 전기요금 부담을 줄이고, 안정적으로 사업을 운영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특히, 이 지원 프로그램은 영세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하여 전기요금의 일정 부분을 지원해주는 방식으로 운영되며, 지원 대상과 지원 금액은 각 사업장(계약자, 비계약자)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조해보세요.
2024.09.18.

질문자님 안녕하세요!
가족 분의 사무실이 A 건물에 세 들어가 있고 주택용-비주거용 한전 전기 요금을 납부하고 있다면, 전기 요금 고지서에 본인의 이름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본인의 이름이 있으면 > 직접계약자
본인의 이름이 없으면 > 비계약자
비계약자 세부 유형: 전기 요금이 건물주 명의로 고지되고 있다면 "타인명의"에 해당합니다.
고지서 사본은 한전 홈페이지에서 전기 요금 내역을 조회하여 고지서 사본 다운로드 하시면 됩니다.
관련해서 잘 정리된 글이 있으니 아래 글에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2024.07.11.
엑스퍼트 전문가를 모십니다! 지식 공유하고 수익도 창출할 수 있는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