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대학교 교직원(교수 말구요..^^)이 되려면...(내공20)
yong**** 조회수 51,954 작성일2003.03.19
전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회사를 다니고 있는 사람입니다..
아시는 분은 아시것지만 워낙 힘들어서요...
지금 취업준비 하시는 분들껜 지송..하지만 저도 백수 2년을 보냈었습니다...우리모두 화이링!!

하여간에..
제가 궁금한건...

1.연봉수준 2.업무시간(방학중엔 더 짧다고 들었는데..) 3.제 전공과도 관계있는 부서
4.되기위해 준비해야 할 것.. 5.그 외에 아시는 것들...

특히 현재 교직원이신 분이 답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2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uo****
고수
일단 국립학교와 사립학교로 나뉘죠

국립학교의 교직원은 공무원 신분입니다.

말그대로 교육행정직 시험을 보아야 하며 물론

합격을 해야 하지요. 그렇지 않은 경우는

학교에서 채용공고를 한답니다.

계약직이나 기성회직 같은 직원

이들은 정규직이 아니라서 신분상 제약이 많아요.

비교하면 6두품처럼 간부는 될 수 없습니다.

그런데 공무원 시험이 워낙 어렵고 경쟁도 치렬하다보니

이런일도 경쟁이 엄청나지요.

보수는 먹고 살만큼 줍니다. 물론 계약직보다는 기성회직이 될 경우.

그리고 기능직 공무원 자리가 비면 기능직도 될 수가 있고요.

보통 이들은 마음고생은 좀 되지만 먹고 사는데는 지장이 없습니다.

사립학교는 잘 모르지만 위의 대학 자체직원채용과 비슷하지 않나 싶으네요.

하여간 관심있는 대학의 홈페이지에 자주 들리셔서

공고가 나는지 유심히 보시고요.

본인의 대학의 취업보도실 같은데도 열심히 방문하셔서

추천도 받고 하십시오.

기회가 있어도 정보가 늦어서 취업을 못하는 것. 정말 애석한 일이죠.

열심히 하셔서 좋은 직장 잡으시고요. 결혼도 하시고...

파이팅!!!

2003.03.19.

2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ek****
우주신 열심답변자
국방 2위, 암센터 74위, 레저 분야에서 활동
자체 채용공고를 통해 선발하는데 그게 퇴직자나 결원이 발생할떄 만 뽑습니다.
신문보시면 아시겠지만 아주 가끔 나오는데 나오더라도 건축직(건축기사소지자),사서직(도서관학과출신자),행정직(정보처리기사소지자 또는 여기에다가 프로그래밍경력자),기능직...이정도만 뽑고있죠.

기술직중 각 대학관리실에서도 뽑느데 요새 대학들 관리실(기계,전기등)은 용역직으로 뽑습니다.월급..열악하죠.직영이더라도 나이많은 경력자가 그 자리에 말뚝박고있더군요.이 자리는 또 기능직으로 하는대학도 많습니다.나이많고 허름한 스타일의 사람들이 있다면 대부분은 이런사람들이죠.

1.대개 연봉수준은 학교마다 다르지만 공무원보다 좀 더 낫다는군요.대졸 공무원이라면 7급수준을 기준으로 봐야죠.일부학교는 대기업연봉자 뺨칩니다.서울권에서 연봉센데가 한두군데 있다는데 부자학교로 소문난데가 그렇다는군요.기부금많고....동문결속력이 높은곳....

2.업무시간은 방학때 대개는 3시 혹은 6시에 퇴근합니다.

3.기계전공자와는 무관합니다.

4.합격자는 대개 폐쇄적인 채용방식이라 아는사람위주로 뽑는것같고 그렇지 않은경우 서류심사로 경력이 충분한 사람을 뽑습니다.


제친구가 서울권 모대학 건축직 교직원인데 육군 공병부대에서 공병장교로 5년근무했고 그 대학 건축과를 졸업한 친구였습니다.
거의 10년전 얘기죠.

교직원은 안정된직장,안정적인월급,학교에서 주는 부가적인 대우 등으로 거의 퇴직(연령이 다해) 할때만 뽑습니다.
중간에 나가는 사람은 거의없죠.

그나마 요새 좀 뽑는분야는 사서직과 전산직,행정직(행정직은 전산직으로 뽑기도...)입니다.

2003.03.19.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