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안전보건관리담당자란 (연구실)
비공개 조회수 2,184 작성일2023.08.07
연구업에 취직하게 되었는데(연구원은 아닙니다.)
직무 중 산업안전보건교육(법정교육), 위험성평가, 특수건강검진, msds교육,작업환경측정 등을 다루어야한다고 해서 찾아보니 산업안전기사 관련일이더라구요.

저는 따로 자격증을 가지고 있지 않고 담당을 하게 되어서 해당 내용에 대해 아는 방도가 없습니다.
신설된 팀이라 전임자도 없고 팀원도 없어서요....인수인계는 커녕 도움을 청할곳도 없습니다....

그래서 무슨 교육이 있는지, 그 교육은 어떤식으로 진행해야하는지, 등 직무에 관련된 도움을 받고싶은데
찾아보니 안전보건공단에서 안전보건관리담당자 교육을 한다고 하는데 제가 맡은 업무가 이 직무의 교육을 받는데 있어 해당이 되는 부분일까요???

또한 아니라면 제가 받을 수 있는 교육이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이트등... 정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3개 답변
3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루디
바람신
육군 87위, 병영생활, 액션, 어드벤처 게임 분야에서 활동

안녕하세요

현직 제조업 안전보건관리담당자 입니다.

저도 19년에 처음 직무를 시작할 때 많이 답답했는데,

과거의 저를 보는 것 같네요..

업무보다가 기사/산기 자격증도 취득했지만 여전히 어렵네요..

먼저, 공단에서 실시하는 안전보건관리담당자 양성교육을 이수하여야 선임 조건에 부합됩니다.

안전보건교육포털 (koshats.or.kr)

위 사이트를 참고하시어 E-러닝 교육 (인터넷 교육) 5시간 / 집체교육 11시간을 완료하시면

아래와 같은 양성 교육 이수증을 발급받으실 수 있는데, 이 서류를 바탕으로 선임계를 작성하시면 되겠습니다.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

산업안전보건교육은 정기 산업안전보건교육을 뜻하는 바이고,

특별안전보건교육은 제1호~제39호까지의 해당 작업에 대해 포함이 되면 교육을 실시하여야 합니다.

다만, 특별안전보건교육의 경우 공통+개별 항목에 대한 교육 시간이 16시간입니다. (공통 8시간 + 개별 8시간)

위험성 평가의 경우, 위험한 작업(불안전한 상태 , 불안전한 행동) 이나 유해화학물질 등에 대해 위험 요소를 발굴하고 이에 대한 개선대책(공학적/행동적/관리적/보호구 착용 등)을 세워 개선 대책으로 하여금 해당 위험 요소를

제거하는 목적의 안전보건활동입니다.

위험성 평가에 대한 기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JSA, 4M, What if, Hazop 등등이 있으며, 각 사업장의 여건에 맞추어 알맞은 분석 기법을 통해 효과적으로

위험을 발굴/개선ㆍ제거하시면 됩니다. (2023년부터는 위험성 평가의 세부 내용이 변동되기도 했습니다)

(아..이게 PDF는 안되네요..)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

작업에 대한 표준이 있다면 JSA(작업안전분석)을 실시하시면 되고

작업 표준서나 기타 위험성 평가가 부담스러우시다면 공단 시스템에서 하실 수 있는 KRAS를 추천드립니다.

위험성평가 지원시스템 (kosha.or.kr)

MSDS(물질안전보건자료)의 경우에는 각 물질마다 제조사에게 요청하셔서 받으시면 되구

현장에 비치하거나 근로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는 곳에 검색이 가능한 PC등을 두시면 됩니다.

MSDS교육은 단일물질 및 복합물질에 대해 교육하시면 되오나 다른 산안법,특별안전 교육 등과 같이

법적으로 몇시간 해라 하고 나와있는 법조항이 없습니다. 대부분 30분~1시간정도 진행합니다.

물론 교육자료는 다른 자료를 벤치마킹하거나 조금씩 입맛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그나마 많이 사용하는 건.. 성냥팔이 소녀에 대한 영상이겠네요 (다운로드는 clipdown 검색하셔서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https://youtu.be/OtKhhMWPa74

작업환경측정은 작업환경측정기관의 담당자에게 보유하고 계신 물질의 msds 및 물질관리대장 등을

주신 다음 유해 인자에 대한 측정 주기별로 측정 의뢰하시고,

측정기관(업체) 예비 조사 방문 시 (일/월/년 중 택) 사용량, 사용빈도 등을 함께 작성 후

본 측정 날짜 잡으시고, 유해인자에 따라 특별건강검진 등을 실행해주시면 됩니다.

물론 일반건강검진+특수건강검진을 묶어서 실행하시면 더 편합니다.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

저도 많이 아는 것은 아니지만.. 어려우시면 종종 도와드릴 수는 있습니다..

고생하세요~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

카카오톡 오픈 프로필입니다.. 하핫.. :D

2023.08.10.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슈퍼개츠비
식물신

답변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연구실 안전보건관리담당자는 연구실의 안전과 보건을 책임지는 직책입니다. 산업안전보건교육(법정교육), 위험성평가, 특수건강검진, MSDS교육, 작업환경측정 등을 담당합니다.

산업안전보건교육(법정교육)은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위해 법적으로 의무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교육입니다. 교육 내용은 법령, 안전보건관리체계, 산업재해 예방, 응급처치 등입니다.

위험성평가는 사업장의 위험요소를 파악하고 평가하는 활동입니다. 위험요소를 파악하고 평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특수건강검진은 특수한 업무를 수행하는 근로자에게 실시하는 건강검진입니다. 특수한 업무를 수행하는 근로자는 일반 근로자보다 건강 위험이 높기 때문에 특수건강검진을 실시하여 건강을 보호합니다.

MSDS교육은 화학물질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 화학물질의 성질, 위험성, 취급요령 등을 교육하는 것입니다. MSDS교육을 통해 화학물질의 위험을 이해하고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습니다.

작업환경측정은 작업장의 유해인자를 측정하는 활동입니다. 작업장의 유해인자를 측정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연구실 안전보건관리담당자 교육은 안전보건공단에서 실시합니다. 교육 내용은 산업안전보건교육(법정교육), 위험성평가, 특수건강검진, MSDS교육, 작업환경측정 등입니다. 교육은 온라인으로 수강할 수 있습니다.

연구실 안전보건관리담당자는 안전보건공단에서 발급하는 안전보건관리담당자 자격증을 취득해야 합니다. 안전보건관리담당자 자격증을 취득하면 연구실의 안전과 보건을 책임질 수 있는 전문성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연구실 안전보건관리담당자는 연구실의 안전과 보건을 책임지는 중요한 직책입니다. 안전보건공단에서 실시하는 교육을 이수하고 안전보건관리담당자 자격증을 취득하여 연구실의 안전과 보건을 책임지시길 바랍니다.

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 https://www.kosha.or.kr/

-+-+-+-+-+-+-+-+-+-+-+-+-+-+-+-+-+-+-+-+-+-+-+-+-+-+-+-+-+-+-+-+-+-+-+-+-+-+-+-+-+-+

아래 주소를 클릭하시면 쿠팡 특가 행사중인 상품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쿠팡 골드박스 특가] : https://vvd.bz/cdme

[야놀자입점기념 86%할인] : https://vvd.bz/clIX

[여름바캉스 60%세일 특가전] : https://vvd.bz/clI0

[캘럭시Z플립5 로켓배송 사전예약] : https://vvd.bz/clIS

[로켓럭셔리 입점기념세일 ] : https://vvd.bz/clIV

[쿠팡LG초특가전] : https://vvd.bz/cevG

[쿠팡 반품마켓 특가] : https://vvd.bz/cdmc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2023.08.07.

2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삭제된 답변
작성자가 직접 삭제한 답변입니다.
2023.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