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경북도청 이전했잖아요.
znwi**** 조회수 9,112 작성일2017.10.10
경북도청이 안동, 예천으로 이전했잖아요. 
경북도청 이전이 안동으로 확정되기까지 많은 사람들의 노력이 있었지만
특히 안동대학교 권기창교수의 역할이 컸다고 하는데 
어떤 역할은 하였기에 이런 이야기가 많은 건가요?
경북도청이전에 안동대 권기창 교수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이 맞나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2개 답변
2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지식돌이
초인
플레이스테이션, 부동산, 금융 분야에서 활동
네. 맞습니다. 자세히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경북도청이전의 추진배경은 경북의 균형발전을 도모하고, 경북의 구심력 확보를 통한 도민의 자긍심을 제고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더불어 경북의 새로운 발전축의 형성으로 웅도 경북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되었습니다. 이같은 배경 하에서 도청을 이전하기 위해 1992년 경상북도 도의회 특위를 구성하였고 1994년 동명기술공단에 도청소재지 후보지 선정 용역을 의뢰하여 1995년도에 안동을 1순위로 발표하였으나 집행부의 의지 부족과 1999년 도의회 조례 유보 결정으로 도청이전 무산됨에 따라 경북의 경쟁력이 저하되는 결과를 낳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 이후 2008년 1월 28일 영주에서 도청이전 주민설명회를 개최하여 입지기준을 발표하게 됩니다. 당시 입지 기준은 안동을 포함한 북부지역은 후보지조차 낼 수 없는 기준이었습니다. 직경 6km의 범위내에서 450만평의 부지를 확보해야 하고 이 중에서 경사 11도 이하의 개발가능 면적이 300만평 있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이 조건은 안동에서 제일 큰 풍산평야의 두배 정도의 부지가 있어야 충족되는 것이어서 안동으로 도청이전이 거리가 멀다는 여론이 많았습니다.

이때 권기창 교수는 “생산성이 떨어지는 골짜기의 전·답과 산림으로서 보존가치가 떨어지는 임야를 활용해서 신도시를 건설하는 것이 국토의 효율적 이용에 부합하는 것이다”라는 것을 강조하면서 경상북도의 경우 산악 지형이 많음을 감안하여 경사도는 높이고 넓은 면적에 자족적인 신도시를 조성하기에는 인구가 줄어드는 상황에 많은 문제가 야기될 수 있음으로 신도시 면적은 축소해야 한다는 주장하였습니다. 경상북도의 균형발전을 위한 도청이전인 만큼 적어도 대부분의 시·군에서는 후보지를 신청할 수 있는 입지기준을 만족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경북도청추진위원회에서는 2008년 2월 22일 최종적으로 입지기준을 확정하게 되는데, 권기창 교수가 주장했던 추진 안이 그대로 반영되어 발표되었습니다. 확정된 주요내용은 신도시 조성 전체 면적은 360만평, 개발 가능지 면적은 201만평으로 축소하였고 경사도는 15° 이하로 상향 조정하고 범역 기준은 직경 8Km이내로 확대하였습니다. 이제 부터는 입지기준을 충족하는 후보지를 찾은 것이 또 하나의 과제로 급부상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경북​도청이전 추진위원회에서는 도청이전의 평가기준은 균형성, 성장성 접근성, 친환경성, 경제성의 순으로 수정하고 가중치 설정도 세부항목에 추가하여 기본항목에도 도민여론조사(23개시·군 각30명)50%, 전문가 조사 50%로 반영하겠다는 최종 평가기준을 2008년 4월 28일 발표하였습니다. 
당시 권기창 교수는 “입지기준과 평가기준 모두 우리가 주장하는 대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기준으로 수정되어 도청이전의 희망의 서서히 안동으로 다가오고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게 됐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입지기준과 평가기준 진행과정을 보면서 안동으로 도청이 오기에는 많은 저항 세력이 있다는 것을 실감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안동시장과 도청후보지 신청서 연구용역을 진행하던 권기창 교수와 연구진들이 함께 공동으로 신청할 수 있는 후보지가 있는지 영주, 의성, 예천과의 접경지역에서 찾아보았습니다. 그 결과 안동과 예천의 접경지역에서 최적의 조건을 갖춘 후보지를 찾게 됩니다. 문제는 안동시와 예천군이 어떻게 합의를 할 것인지가 가장 어려운 과제로 급부상 하게 되었습니다. 최후의 순간까지 열과 성을 다해 노력한 결과 극적인 합의를 이끌어 냈다고 합니다. 

2008년 5월 13일 안동과 예천지역 경계에서 도청이전 후보지 공동 신청 선포식을 안동시민과 예천군민의 축복 속에서 진행이 되었으며 권기창 교수는 선포식에서 도청이전 공동 후보지 신청의 당위성에 대해서 시군들 앞에서 설명하였습니다. 5월 13일날 선포식을 한 것은 15일까지 접수 마감일로 다른 지자체들이 공동으로 신청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시간이었습니다. 후보지 신청 접수를 받은 결과 안동시· 예천군 공동신청, 칠곡군, 군위군, 의성군, 경주시, 영주시, 영천시, 김천시, 상주시, 포항시, 구미시로 11개의 후보지가 신청하였으며  안동과 예천만이 공동신청을 하였습니다.  
 
2008년 6월 4일부터 6월8일까지 대구은행 연수원에서 83명의 평가위원들이 후보지를 평가하기 위한 작업에 들어갔으며 저녁 7:45분경 경북의 도청소재지 선정 발표를 이규방위원장이 하게 되었습니다. 최종점수로 포항 696.56, 경주 697.40, 김천 696.98 안동·예천 823.54, 구미 720.22, 영주 708.59, 영천 731.43, 상주 807.87, 군위 687.85, 의성 758.92, 칠곡 682.16 최고 득점지는 안동·예천으로 발표하였습니다. 안동시민의 염원이 달성되는 순간이었습니다.

이어 2008년 9월 26일 도의회 본회의에서 “경상북도 사무소의 소재지를 경상북도 안동시·예천군 일원으로 한다”라는 사무소 조례 변경안이 상정되어 찬성36표, 반대 12표 기권 1표로 통과 되었다. 이것으로서 1992년부터 시작한 도청이전의 꿈이 300만 도민과 안동시민의 축복 속에서 대단원의 막을 올리게 됩니다. 

이러한 지역발전을 위한 활동의 결과로 권기창 교수는 2009년 자랑스런 안동시상, 2013년 자랑스런 경북도민상, 2017년 한국신지식인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제 답변이 많은 도움이 되셨기 바랍니다.

2017.10.10.

  • 채택

    질문자⋅지식인이 채택한 답변입니다.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odgm****
평민
잘은 모르겠지만 그런 걸로 이야기 들었습니다.

2017.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