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저는 중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여자 아이입니다.
이번에 송건호씨가 쓴 신문과 진실이라는 논설문을 배우면서
선생님이 볼게 없지만 제일 깨끗한 신문이라면서 추천을 해주셨어요.
그래서 신문을 받아보려고하는데, 아빠가 한겨레 신문에
통일교 신자가 있다고하시면서 볼것도 없다고 다른 신문을 받자고 권하시는데요.
사실인가요? 그리고 통일교와 관련이 있다고해도 신문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을 것 같은데요.
그리고 선생님은 송건호씨가 살아계시다고 하신 것 같던데,
인터넷에는 돌아가셨다고 나온것 같아요.
한겨레 신문이 깨끗하다는게 사실인가요?
한겨레 신문 관련자가 통일교와 연관이있단 것도 사실인가요?
송건호씨는 살아계시나요?
한겨례신문에 기자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되나요?
사람들의 신뢰도가 가장 떨어지는 신문이라던데..정말인가요?
중3인 제가 읽기에 괜찮은 신문인가요?
-아그리고 회광신문에는 자꾸 SGI라는게 나오던데.. 일본기업이아닌가요 ?
회광신문에 SGI가 안나오는 날이 없어요..심지어 뒤에 게임에도 나오더군요..
이건아시는 분만 알려주세요. 질문이 너무 길어서 죄송합니다. 꼭 정섯껏 답변해주세요♡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한겨레 신문이 깨끗하다는게 사실인가요?
-한겨레신문은 가장 대표적인 진보성향 신문입니다.
깨끗한지 아닌지는 정확히 알 방법은 없지만
어쨌든 일반 시민의 자발적 투자에 의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깨끗하다는 것이 많은 사람들의 평입니다.
한겨레 신문 관련자가 통일교와 연관이있단 것도 사실인가요?
-한겨레신문과 통일교와는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통일교 관련신문은 세계일보지요.
한겨레신문은 종교와는 거리가 멉니다.
송건호씨는 살아계시나요?
-송건호씨는 2001년 12월 21일에 돌아가셨습니다.
한겨례신문에 기자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되나요?
-다른 신문과 마찬가지입니다.
그런데 주요 일간지 기자가 되려면 공부를 대단히 잘 해야 합니다.
그리고 특히 한겨레신문 기자가 되려면 대학시절에
학생회활동과 봉사활동, 기타 활동을 열심히 하고
학점도 잘 받고 영어공부도 열심히 하고
또 진보적 성향의 각 종 서적도 많이 읽어야 합니다.
사람들의 신뢰도가 가장 떨어지는 신문이라던데..정말인가요?
-심층 취재를 위해서는 사람과 돈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사람을 많이 쓰려면, 그것도 우수한 사람을 많이 쓰려면 그것도 역시 돈이 필요하죠.
한겨레신문은 상당히 가난한 신문사입니다.
돈이 부족하니 취재에 상당히 어려움이 많죠.
그래서 신뢰도가 떨어진다고 하는데...그러나 그 정도 돈에 그 정도 수준으로 하는 것은
괜찮다고 봅니다.
중3인 제가 읽기에 괜찮은 신문인가요?
-중학생이라면 진보나 보수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지 말고
진보, 중도, 보수 모두 골고루 경험해보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진보에는 한겨레신문, 중도에는 한국일보, 중도보수에는 중앙일보, 보수에는 조선일보
등을 골고루 보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아그리고 회광신문에는 자꾸 SGI라는게 나오던데.. 일본기업이아닌가요 ?
-회광신문이 아니라 화광신문입니다.
이 신문은 남묘호렌게쿄(南無妙法蓮華經)라는 종교의 한국 기관지입니다. 기업이 아니죠.
SGI 혹은 창가학회라는 것도 이 종교의 다른 표현입니다.
일본에 본부를 두고 있는 종교인데 원래 불교에서 나오긴 했지만
정통불교와는 상당히 다른 종교입니다.
일본에서는 상당한 세력이 있고 일본 공명당이 이 종교 계열입니다.
2007.09.24.
-
채택
질문자⋅지식인이 채택한 답변입니다.
저는 지금 한겨레 신문은 구독하고 있습니다.
위에 말씀하신 것은 조금 과장되거나 그런 면이 있고요(종교가 어떻고 ㅋ)
윗 분들이 말씀 하신것처럼 한겨레 신문이 가난한것도 사실이고, 타 3대신문에 비해서
신문의 양이나 문화나 흥미거리 정보 사회 경제 등 그런 면들에 대한 기사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도
사실 맞습니다.
하지만,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사실은 하나 입니다..
예전에 여러 회사의 신문기자들을 포함한 언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가장 신뢰하는 신문이 한겨레라고 답했답니다. 심지어 3사의 기자분 중 많은 분들도 그랬다네요.
한겨레는 진보 신문 맞습니다. 그래서 3사와 비교 거론 되는 일이 많은 것도 사실입니다.
그런데도 양이나 흥미거리 혹은 돈을 많이 써야 얻을 수 있는 기사, 뭐 정도 등등이 적음에도
많은 분 들이 사랑해 주고 구독하는 이유는,
비교적, 되도록이면 사실을 전달하려는 그들의 바람을 읽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신문뿐만 아니라 모든 언론 에서는 사실과 의견이 뚜렷하게 구분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많은 언론에서는
의견이 사실이 되는 경우도 많고, 바늘이 소로 등장하기도 하지요. 그런 면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편이라고
생각 합니다. 그게 제가 가난한 한겨레를 오랫동안 구독해온 이유입니다.
사실, 저도 같은 고민을 한적이 있었기 때문에. 이렇게 말씀 드리네요. ^^
학생들은 사실을 접하고, 사실에 대한 찬반 혹은 그에 대한 의견을 가져야 합니다.
의견에 의견을 덧붙이는 것은 어릴때로 충분 하지요. ^^ 이상. 못내미 의견이었습니다.
2007.10.01.
다른 신문도 같이 골고루 보라는 답변이 가장 공감이 가네요
저도 한겨레 독자입니다 전에는 동아일보 보다가 의도적으로 한겨레로 바꿔 본지 일년가까이 됩니다
상당히 한쪽으로 치우쳐 있음을 많이 느끼고 스스로 감안해서 보고 있습니다
한겨레만이 진실한 신문이다 라고 하는것은 옳지 않습니다
진보성향의 신문이다 라고 하는게 옳습니다 조중동은 보수성향이다 라고 하는것이 맞지
한겨레는 만고의 진리 신문이고 조중동은 찌라시다 라고 하는 사람들이 찌라시같은 사람들입니다
조중동 좋다는 이야기는 전여 아닙니다
한쪽으로 치우치게 세상을 보지 말기를 바라면서 골고루 보시기를 권합니다
2008.07.01.
엑스퍼트 전문가를 모십니다! 지식 공유하고 수익도 창출할 수 있는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