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사채내역 알아보는 법 및 손해보험 평균 사망시 보험금?
비공개 조회수 780 작성일2024.10.18
따로 지내살던 친부, 따로만 살지 가족관계는 유지되었던 친부가 사망했다고 합니다.
사채까지 써서 대출을 많이 받았다는데, 그게 얼마인지 알 수 있는 방법 없나요?

그리고 보험가입내역을 보니
1. 한화손해보험 : 무배당 마이라이프 한아름종합보험1601
2. 롯데손해보험 : 무배당 LET'SMILE 4060종합보험(10플러스)(2405)
3. 롯데손해보험 : 무배당 LET'DRIVE 운전자보험(2404)
4. KB손해보험 : KB5.10.10플러스 실속건강보험(무배당)(24.05)_2형
5. KB손해보험 : KB손보 실손의료비보장보험(무배당)(24.07)

모두 가입기간은 24년 7월이더라고요.

질문 정리하면

1. 사채로 얼마 빌렸는지 알 수 있는 방법 없나요? 안전하게요.
2. 위 보험가입내역을 보고 사망보험금이 얼마인지, 중복으로 나오는지 알 수 있는 방법 없나요?
3. 모두 24년 7월 가입인데, 가입 후 사망일까지 딱 3개월하고 몇 일 지났더라고요. 이럴 경우 사망보험금이 나오나요?
4. 상속포기를 할지 한정승인을 할지 고민인데, 위 보험금이 나온다면 한정승인도 좋을까 생각합니다만, 사채가 얼마인지를 모르겠어서요. 답변자님들은 어떻게 판단하시는지 조언 구합니다..

자세히 설명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7개 답변
2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박한석손해사정사
우주신 열심답변자 eXpert
40대 이상 남성 서비스업 #고지의무위반 #재해사망보험금 #암진단금 교통 사고, 위반 7위, 의료, 상해 보험 23위, 손해배상 3위 분야에서 활동

사망보험금은

돌아기간 분의 상속재산이 아니라

수익자(법정상속인 등)의

고유재산으로 간주되므로,

망인의 채무와 상관없고

한정상속 승인을 받더라도

그에 관계없이

수익자 자신의 돈을

그대로 수령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한정상속을 신청하더라도

그에 관계없이

사망보허금을 전액 지급받아도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다만, 주의할 것은

사망보험금을 청구할 경우

보험회사는 책임준비금도 같이 지급하게 되는데

해당 금액은 분리하여

지급받지 말아야 합니다.

한편, 고지의무 위반에 해당하지 않고

사망일 까지 계약이 실효되지 않아

유효하게 유지중이라면

사망보험금을 받을 수 있으며,

4건의 계약에 대해

받을 보험금이 있는지

있다면 얼마나 되는지는

보험회사에 상속인 자격으로

(그 자격을 증명하는 사류는 첨부헤야 합니다)

계약사항 조회를 하여

그 결과를 받으면

모두 판단 가능하게 됩니다.

그럼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2024.10.18.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이 답변의 추가 Q&A
질문자와 답변자가 추가로 묻고 답하며 지식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박한석손해사정사님의 엑스퍼트 상품
답변자에게 더 자세한 맞춤 상담하고 싶다면 엑스퍼트를 이용해보세요!
바로가기
3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홈페이지제작 김정민
초인 eXpert
남성 IT/인터넷업 #홈페이지제작 #웹사이트제작 #홈페이지제작기획 웹 서버구축, 호스팅 50위, 검색, 검색어 29위, 웹사이트 제작, 운영 분야에서 활동

1. 친부의 사망이시니 질문자님은 1순위 상속자로 "안심상속원스톱서비스"를 이용하시길 권해드립니다.

다만 완전 개인의 "사채" 까지는 조회되지 않지만 일반 대부업까지는 조회가 되오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https://www.ansan.go.kr/www/common/cntnts/selectContents.do?cntnts_id=C0001053

2,3. 보험금 관련은 가입한 보험 각각의 약관마다 다를수 있으니 보험사에 문의 해보시거나 증권을 확인 해보시기 바랍니다.

4. 질문자님을 포함해서 1순위 상속자가 누가 있으신지는 아시는지요? 혹은 질문자님과 관련있는 후순위 상속인이 있는지를 고려 했을때 아무도 없다면 상속포기가 쉽고 빠를수는 있지만 보다 깔끔한 처리를 위해서는 한정승인을 권해드립니다.

보험금 수령은 해당 보험의 "수익자"에 따라 수익자의 고유의 재산이 되기때문에 상속재산이 아닐때에는 한정승인, 상속포기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다만, 위 보험 모두 계약자가 고인이시라면 책임준비금의 명목으로 지급되는 보상도 있을수 있는데 이때 책임준비금은 보통 계약자가 수익자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되면 이부분은 고인의 재산이기에 상속재산에 속할수도 있으니 우선 보험의 계약자와 수익자를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2024.10.18.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홈페이지제작 김정민님의 엑스퍼트 상품
답변자에게 더 자세한 맞춤 상담하고 싶다면 엑스퍼트를 이용해보세요!
바로가기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23q2****
지존

1. 사채 금액 확인은 채권자와의 대화나

법원에서의 정보조회로 가능하나 신중해야 합니다.

2. 보험금 확인은 각 보험사에 직접 문의하거나

가입증명서를 요청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가입 3개월 후 사망 시 보험금 지급 여부는

보험 약관에 따라 다르니 확인이 필요합니다.

4. 상속포기 또는 한정승인은 사채와 보험금

상황에 따라 결정하되 전문가 상담이 유익합니다.

2024.10.18.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4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46pj****
영웅

1. 사채 금액 확인은

신용정보회사 통해

조회할 수 있습니다.

2. 보험금 확인은

각 보험사 고객센터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3. 가입 후 사망 시

보험금 지급 여부는

약관에 따라 다릅니다.

4. 상속 여부는

보험금과 사채 규모를

기준으로 신중히 판단해야 합니다.

2024.10.19.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7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푸딩
우주신 열심답변자
학생 #안녕 #지지배배 #채택좋아용

1. 사채 금액은 법원에 문의해 보세요.

2. 보험금은 보험사에 직접 확인해야 해요.

3. 가입 후 3개월 이내라도 유효할 수 있어요.

4. 사채 금액 확인 후 결정하는 게 좋습니다.

2024.11.19.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