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질문
고속철도에 불길이 번진다면?
정보가 없는 사용자
조회수 262
작성일2004.04.12
주행중인 고속철도 열차안에서 불이 나면 주택화재나 차량화재 같은 단순 화재사고에 비하면 피하기가 힘들까요?
그러면 고속철도에 불이 나면 대구지하철참사와 비교하면 더 많은 인명피해를 가져 올까요?
사상자도 크게 늘어날까요?
그러면 고속철도에 불이 나면 대구지하철참사와 비교하면 더 많은 인명피해를 가져 올까요?
사상자도 크게 늘어날까요?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번째 답변
http://www.irail.net/library/rail_treatise/2003_2/2003/12/12/1405_12503_1_29_065.pdf
위 홈페이지를 보면 원하시는 자료를 보실수가 있습니다.
열차화재는 시간과의 싸움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우선 고속열차는 제동거리가 길기 때문에 어려움은 많겠지만요? 그래도 조금은 안전할거로 생각이 듭니다. 그러나 터널안에서 발생시에는 상황은 다르겠죠?
워낙 제동거리가 기니깐, 그런일은 희박하겠지만, 터널을 무시할수도 없는 일인것도 같습니다.
위 홈페이지를 방문해서 읽어본 결과, 지하나, 터널안에서 화재가 발새했을시에는 대피나, 진화활동이 어렵고 지상에서 현장까지 상황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방어조치를 취하기가 어렵다고 결론을 내리고 있네요.
제가 보기에는 고속열차의 경우 방송에서도 내부 장식에 불을 붙이는 실험을 직접 봤는데요? 안심은 갔습니다. 그러나 워낙 화재루트가 많다보니 방심은 해서는 안되겠죠?^^
전문가들은 토론과, 결론에 이르기까지 조금 상세하게 생각을 하신것 같습니다.
해외의 경우를 보면 대부분 대형참사인데요?
그 원인은 승객들의 부주의로 인한 경우라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1950년대에 비슷한 화제 사고가 있었는데요? 조회 내용은..
"부산역 객차 폭발 화재(釜山驛客車爆發火災)」는 1955년 3월 2일 밤에 일어났던 일이었다. 이 객차 폭발 화재 사건은 부산역두(釜山驛頭)에 정거중이던 서울행 제6열차의 객차 안에서 인화물질(引火物質)이 폭발하여 객차를 불사른 끝에 때마침 열차에 타서 출발을 기다리고 있던 승객 가운데 42명이 불타죽고 41명이 중경상(重輕傷)을 입었다."
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의 고속열차의 경우는 예방훈련을 하고 있으며, 객실안의 커튼등..여러가지는 불에 잘 타지않고, 붙지않는 경우라고 합니다.
또한, 불의 화력과, 사망의 제일 큰 원인은 유독가스라고 하는데요?
화재가 나서는 절대로 안되겠지만요? 만약에 그럴경우, 예방훈련의 경험으로 실제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조기에 진화할수 있는 상태이길 바랄뿐입니다.
철저한 예방과, 안전관리로 그런일은 없었으면 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길...
위 홈페이지를 보면 원하시는 자료를 보실수가 있습니다.
열차화재는 시간과의 싸움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우선 고속열차는 제동거리가 길기 때문에 어려움은 많겠지만요? 그래도 조금은 안전할거로 생각이 듭니다. 그러나 터널안에서 발생시에는 상황은 다르겠죠?
워낙 제동거리가 기니깐, 그런일은 희박하겠지만, 터널을 무시할수도 없는 일인것도 같습니다.
위 홈페이지를 방문해서 읽어본 결과, 지하나, 터널안에서 화재가 발새했을시에는 대피나, 진화활동이 어렵고 지상에서 현장까지 상황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방어조치를 취하기가 어렵다고 결론을 내리고 있네요.
제가 보기에는 고속열차의 경우 방송에서도 내부 장식에 불을 붙이는 실험을 직접 봤는데요? 안심은 갔습니다. 그러나 워낙 화재루트가 많다보니 방심은 해서는 안되겠죠?^^
전문가들은 토론과, 결론에 이르기까지 조금 상세하게 생각을 하신것 같습니다.
해외의 경우를 보면 대부분 대형참사인데요?
그 원인은 승객들의 부주의로 인한 경우라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1950년대에 비슷한 화제 사고가 있었는데요? 조회 내용은..
"부산역 객차 폭발 화재(釜山驛客車爆發火災)」는 1955년 3월 2일 밤에 일어났던 일이었다. 이 객차 폭발 화재 사건은 부산역두(釜山驛頭)에 정거중이던 서울행 제6열차의 객차 안에서 인화물질(引火物質)이 폭발하여 객차를 불사른 끝에 때마침 열차에 타서 출발을 기다리고 있던 승객 가운데 42명이 불타죽고 41명이 중경상(重輕傷)을 입었다."
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의 고속열차의 경우는 예방훈련을 하고 있으며, 객실안의 커튼등..여러가지는 불에 잘 타지않고, 붙지않는 경우라고 합니다.
또한, 불의 화력과, 사망의 제일 큰 원인은 유독가스라고 하는데요?
화재가 나서는 절대로 안되겠지만요? 만약에 그럴경우, 예방훈련의 경험으로 실제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조기에 진화할수 있는 상태이길 바랄뿐입니다.
철저한 예방과, 안전관리로 그런일은 없었으면 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길...
2004.04.12.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
출처
네이버.
내 소식이 없습니다.
최근 공지사항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