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재해영향성검토 협의 대상(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0조에 따른 도시군관리계획)
비공개 조회수 1,199 끌올 작성일2022.11.24

자연대책법 시행령 

별표1. '재해영향평가등의 협의대상 행정계획 및 개발사업의 범위 및 협의시기'

에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0조에 따른 도시군관리계획일 경우 

재해영향성 검토 협의 대상이나, 


비고 제1항에 3가지 내용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재해영향성 검토를

      협의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제3항에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43조에 따른 도시·군계획시설을 결정하는 경우(부지면적이 5천제곱미터 이상이거나 길이가 2킬로미터 이상인 경우로 한정한다)" 에 나와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부지면적" 이 사업구역 면적을 말하는 것인지? 결정할 도시계획시설의 면적을 말하는 것일까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반님
은하신
공학기술직 #도시계획 #지구단위계획 #도시개발 원예 68위, 부동산, 건축 민원 36위, 노동법 92위 분야에서 활동

도시군계획시설은 부지면적= 시설면적입니다.

물론 (5천이하의)도시군계획시설 + 연접한 개발행위.... 정도 가 있을수 있겠으나,

이 또한 개별법령상의 최소 재평면적인 5천제곱미터를 초과하게 될 것므로 ...재해영향성 대상이 될 것입니다.

이전에는 5천제곱미터 이상이더라도 선형시설의 경우 2킬로미터 이하라면 대상이 안되는 것으로 보았으나

최근에는 둘중 어느 하나에만 해당되면 재해영향성 대상으로 봅니다.

여기서 말하는 "부지면적" 이 사업구역 면적을 말하는 것인지? 결정할 도시계획시설의 면적을 말하는 것일까요?

=> 동일)시설=부지)하다 보지만 굳이 나누자면( 행정단계의 재해영향성검토이므로...)

시설면적이 맞을 것입니다.

2022.11.29.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이 답변의 추가 Q&A
질문자와 답변자가 추가로 묻고 답하며 지식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